전쟁하는 신민, 식민지의 국민문화 - 식민지 말 조선의 담론과 표상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56
이 책은 와타나베 나오키를 중심으로 2006년 봄부터 현재까지 도쿄의 무사시대학[武?大?]에서 계속되어 온 ‘인문평론연구회’의 결코 짧지 않은 탐구의 연구 성과이다. 수록된 글의 상당수는 일본, 캐나다에서의 학술회의와 각 저자의 연구 활동 공간에서 이미 여러 언어로 발표된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 성과를 번역하고 수정하여 한 자리에 모으는 일이 저자에게나 학계에 ‘식민지 말 조선문화’ 연구의 변폭들을 확인시켜주고 있을 뿐 아니라, 적잖은 파장을 일으킬 의미들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식민지 말의 문학 및 문화현상과 관련된 전체 4부 13편의 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부‘전시 戰時 지적 협력의 논리 구조’에서는 주로 식민지 말의 문학 및 사상의 전체상을 조망한 글들, 특히 ‘협력의 논리 및 윤리’와 관련된 글들이다. ‘식민지 말’이라는 시대 표지는 흔히 중일전쟁 이후의 전시 체제, ‘비상사태 예외상태 ’라는 비결정성 초결정성의 세계에 대한 파악을 방해하는 요소로서 기능하곤 한다. 제2부 ‘세계ㆍ제국ㆍ로컬-문화의 위계와 고통의 네트워크’에서는 주로 제국문화의 위계 및 소수자문학의 네트워크를 논한 글들이다. 세계와 제국의 위계에 의해 생겨나는 번역의 정치, 인종 문제, 소수자 문학의 문제들을 논하고 있다. 제3부 ‘시학ㆍ정치ㆍ자본-국민문학의 이념과 시장’에는 국민문학의 기치 아래 창작된 실제적 창작물들과 그것이 유통되는 방식에 대해 논한 글들이다. 제4부 ‘미디어·표상·국민문화’에는 식민지 말의 프로파간다 영화 및 국민연극을 다룬 두 편의 글과 식민지기에 형성된 문화적 표상들이 후기 식민지라는 상이한 문화적 장 안으로 귀환되는 방식을 다룬 글 한 편이 실려 있다.
최근 몇 년간, 한국과 일본, 미국 등지에서는 식민지 조선의 문학 및 문화를 대상으로 한 심도 있는 연구 성과가 거듭 발표되고 있다. 서로 다른 국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연구자들이 모여 낸 이 책은 한국 근대문학 연구, 식민지 말 문화 현상에 대해 다각도로 접근할 수 있는 구심점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일본 무사시(武藏) 대학교 인문학부 교수. 일본 게이오(慶應) 대학교 정치학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문과 박사과정 수료. 고려대학교 초빙전임강사 등을 거쳤다. 주요 저서로는《이동의 텍스트, 횡당하는 제국》《전쟁하는 신민, 식민지의 국민문화》《문학지리 한국인의 심상공간》등이 있다.
책머리에
제1부 전시(戰時) 지적 협력의 논리 구조
‘사실의 세기’, 우연성, 협력의 윤리
최재서의 Order
식민지 조선의 프롤레타리아 농민문화과 ‘만주’
제2부 세계·제국·로컬 - 문화의 위계와 고통의 네트워크
제국 일본과 번역(없는) 정치
일그러진 동심
제국, 민족, 그리고 소수자 작가
제3부 시학, 정치, 자본 - 국민문학의 이념과 시장
일제 말 조선인이 쓴 일본어 시의 전개과정
김종한(金鍾漢)의 전향(轉向) 과정에 대하여
일제시대 마해송의 행적과 일본잡지
출판신체제의 성립과 조선문단의 사정
제4부 미디어, 표상, 국민문화
프로파간다 영화에 나타난 젠더와 국가
식민지 조선의 국민 연극 연구
무법과 범법, 쿠데타 이후의 주먹들
저자 역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