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씨삼대록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3 : 이화한국문화연구총서 11
〈조씨삼대록〉은 〈현몽쌍룡기〉의 후편으로, 가문 배경이나 인물구도를 이어 받아 이야기를 전개한다.
후편 〈조씨삼대록〉에서는 삼대록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자녀, 손자 세대로 이야기를 확대하여 그들을 작품의 중심인물로 삼고 있다. 서사에서는 조무의 아들 기현 부부, 운현 부부, 딸 월염 부부, 그리고 손자 명윤 부부와 조성의 아들 유현 부부, 딸 자염 부부, 그리고 손자 명천 부부 등에 관한 내용이 비중 있게 그려진다.
이들 중심인물이 겪는 갈등은 주로 남편이 아내의 정절을 의심하여 박대하는 과정을 그린 부부갈등, 시부모가 며느리를 박대하는 고부갈등, 그리고 형제의 장자권이나 행복을 시기하여 모해를 가하는 형제갈등 등의 양상을 띤다.
이때 〈조씨삼대록〉역시 전편〈현몽쌍룡기〉와 유사하게 호방한 성격의 인물, 단엄한 성격의 인물 등 인물의 성격에 차이를 둠으로써 다양한 갈등 해소 양상을 그리지만, 반면에 그와 다르게 어려움을 겪는 부부가 중심이 되어 문제를 해결해나는 양상에 초점을 두고 있을 뿐 가문 차원의 위기의식이나 가문 구성원의 공동 대응 등을 그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씨삼대록〉의 서사는 가문의 권위 확립이나 가부장권의 강화를 통해 가족 구성원을 하나의 통합된 질서 안으로 규합하는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의 기본적 틀은 유지하면서도 부부 각각의 갈등과 그 갈등에 대처하는 인물들의 개성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데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일상생활에서 벌어질 수 있는 부부간의 기질 대립 양상 등을 실감나게 서술하거나 인물들의 내면 심리를 노출하여 한 인물 안에 담겨진 성격의 다양성을 드러내는 서술 등은 〈조씨삼대록〉의 오락적 성격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현실감 있는 대중적 독서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조씨삼대록〉이 이처럼 딱딱한 이야기를 가볍게 풀어나가는 여유를 보일 수 있었던 이유로 작가의 역량과 함께 축적된 독서 경험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실제 〈조씨삼대록〉은 전대 소설인 〈소문록〉, 〈사씨남정기〉, 〈소현성록〉 등과 모티프 면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내부에서 이루어진 형식적, 주제적 분화의 양상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넓게는 국문장편소설 연구의 다양한 지평에 대해 고민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서로 복잡하게 관계망을 형성하며 영향을 주고 영향을 받았던, 당시 국문장편소설 창작의 관습을 뒷받침할 만한 구체적 증거들을 담고 있기 때문에 17~19세기 국문장편소설 독서와 국문장편소설 창작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자료적 가치도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연구원, 국문학과 강의전담교수를 거쳐 현재는 국어문화원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국문장편고전소설의 인물형상과 서술시각, 작품에서 드러나는 여성들의 생활과 문화 등에 대해 탐구하고 있으며, 고전소설의 현대역과 주해 연구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 <19세기 소설작가 목태림 문학 연구>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상례 서술의 변모양상과 그 의미」, 「17세기 후반 국문장편소설의 딸 형상화와 의미」, 「<소현성록>에서 드러나는 남편들의 폭력성과 서술시각」등이 있다.
조씨삼대록 해제
제16권
제17권
제18권
제19권
제20권
제21권
제22권
제23권
권지십뉵
권지십칠
권지십팔
권지십구
권지이십
권지이십일
권지이십이
권지이십삼
조씨삼대록 가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