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출 PLAY DIRECTING
연출가는 배우들과 실제 연습을 시작하기 전에 작품 해석에 대한 구체적인 정리를 끝내야 한다. 가벼운 희극의 경우 짧은 시간에 끝날 수도 있으니 고전의 경우는 몇 년 이상 오랜 연구 기간을 필요로 할 때도 있다. 만일 연출 지망생이 이 과정에 자극과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면 아예 연출가가 되겠다는 생각을 그만주는 편이 옳다.
어느 작품이건 그 해석 과정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희곡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하여 결정하는 일이고, 둘째는 이 내용을 담아 관객에게 전달할 연극형태를 찾아 결정하는 일이다. 이 두 목적을 이루기 위해 연출가는 여러 각도에서 되풀이해서 작품을 정독하지 않으면 안 된다. p.57
제1부
예술로서의 연극
연출가의 기능
제2부
희곡의 선택
즉흥극
작품의 해석
성격묘사
제3부
미디어
구성
시각화의 문제
동작
리듬
판토마임의 극화
원형무대
제4부
연출의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