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미국 민중주의의 역사를 살펴보는 책. 민중주의(Populism)라는 단어에 붙어 있는 부정적 의미를 걷어내고 민중주의 본래의 긍정적 의미와 기능을 조명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민중주의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의 민중주의를 발원에서부터 현재까지 차례대로 살펴봄으로써 민중주의의 재조명을 시도하고 있다.
저자는 특히 미국의 민중주의는 기본으로 개인주의적이며, 자본주의 사회를 부정하기 않았기 때문에 미국의 민중들이 사회주의로부터 등을 돌리도록 하는 데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참여 민주 정치를 강조함으로써 미국의 민주 정치 발전에도 공헌했다고 주장한다. 즉, 사회주의에 대한 민중주의의 승리가 미국 역사의 진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임을 강조하고 있다.
저자소개
[지은이] 정대현
고려대(학사, 박사), 미국의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학사), 템플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1977년 이후 이화여대에서 인식론, 언어 철학, 심리 철학을 강의하고 있다. 『심성 내용의 신체성』(2001), 『맞음: 진리와 의미를 위하여』(1997), 『필연성의 문맥적 이해』(1994), 『지식이란 무엇인가: 지식 개념의 일상 언어적 분석』(1990), 『한국어와 철학적 분석』(1985)을 저술하였고, 『표현 인문학』(2000)을 공저하였다. 최근에는 다원주의, 문맥성, 모호성, 영상 언어론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민중주의의 뿌리
1. 제퍼슨과 민중주의 전통
2. 페인과 민중주의 사상
3. 잭슨의 민중주의
제2장 농업적 민중주의
1. 농민의 불만
2. 농민 반항 운동
제3장 민중당의 창당과 쇠퇴
1. 민중당의 창당
2. 오마하 정강
3. 민중당의 쇠퇴
제4장 민중주의 운동과 사회 세력
1. 흑인 문제
2. 노동자 문제
3. 유태인 문제
제5장 민중주의 운동의 성격
1. 민중주의의 진보적 성격
2. 민중주의의 보수적 성격
3. 민중주의의 혁명적 성격
제6장 현대 민중주의
1. 부활 배경
2. 좌파 민중주의
3. 우파 민중주의
제7장 현대 민중주의의 성격
1. 좌파 민중주의의 성격
2. 우파 민중주의의 성격
3. 민중주의의 공통 기반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