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
- 저자
- 정재서
- 출판사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출판일
- 2006-10-15
- 등록일
- 2010-04-29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9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를 살펴보는 책. 중국 도교를 중국만의 토착 종교로 보지 않고 주변 문화와의 경합적, 다원적 관계에서 발생한 문화로 파악하는 입장에서 접근하였다. 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적 사안들에 대하여 중국 도교와의 대비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그 고유성 및 변별적 자질을 탐구하고 있다.
이 책은 기존의 한국 도교에 대한 중국 도교 중심의 서술이나 연구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한국 도교의 고유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한국 도교가 한국의 기층 문화와 깊은 관계에 있으며 한국 문화의 근저에 깔려 있는 자주의식 및 민족의식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신화학, 인류학, 고고학, 후기 구조주의, 문화 연구 등을 통해 한국 도교의 기원, 역사, 개념, 쟁점 등을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저자소개
저자 정재서 교수(이화여대 중문과)는 일찍이 ‘제 3의 동양학’을 제창, 한국에서의 자생적인 동양학의 입장을 강조해 왔고 특히 신화,도교 등 동아시아 상상력을 바탕으로 문화론을 전개해 왔다. 한국도교문화학회의 회장을 역임한 정 교수는 불모지나 다름없던 한국의 도교 연구를 초창기부터 일구어 왔던 개척자이기도 하다. 이 책은 <불사의 신화와 사상>(민음사 1994), <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푸른숲 2000)을 이은, 도교에 관한 정 교수의 세 번째 저술이다. 이미 출간된 두권의 책은 모두 학계와 일반으로부터 비상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불사의 신화와 사상>은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도교와 무학 그리고 상상력> 또한 문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바 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책이 중국 도교를 주제로 했다면 이 책에서는 한국 도교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다시 말해서 중국 도교에 대한 착실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의 고유성을 변별적, 대비적인 관점에서 고찰해 본 것이다.
목차
머리말
Ⅰ. 해방 후 한국 도교 연구의 흐름(1945-2006)
한국 도교 연구 어디까지 왔나?
시기별 연구 상황
문제 제기 및 전망
Ⅱ. 한국 도교 개설
한국 도교란?
한국 도교 약사
한국 도교의 경전
한국 도교의 세계관
한국 도교의 의례 및 조직
Ⅲ. 한국 도교의 기원
도교는 중국만의 토착 종교인가
한국 도교의 기원 관련 자료
한국 도교의 기원 관련 가설
문화 다원주의와 도교
Ⅳ. 한국 도교의 역사적 전개: 중국 도교와의 대비적 고찰
도교의 보편성과 특수성
한국 관광 도교의 역사적 전개
한국 민간 도교의 역사적 전개
한국 도교의 고유성
Ⅴ. 한국 도교 문학에서의 신화의 전유
서사 지식으로서의 도교
한국 도교계 시가에서의 신화의 전유
한국 도교계 소설·설화에서의 신화의 전유
자생설과 탈중심의 한국 도교 문학
Ⅵ.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도교도상의 의미
고구려 고분벽화 새롭게 읽기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도교 도상의 의미
고구려 도교의 연원성과 연속성
Ⅶ. 『온성세고』를 통해 본 조선 단학파의 이념적 성격
온양 정씨와 한국 도교
『온성세고』의 성립 및 내용
『온성세고』의 지향
단학파의 민족자존 의식
Ⅷ. 총계당 정지승의 도교유적탐사 보고
정지승의 도교적 삶
제천대를 찾아서
한국 도교 현지 조사의 의의
Ⅸ. 삼동윤리의 사상적 연원과 신세기적 의의
정산 송규의 학술적 위상
삼동윤리의 사상적 연원
삼동윤리의 신세기적 의의
신종교를 넘어 세계 윤리로
Ⅹ. 한국 도교 주요 인물 열전
한국 도교의 비조 최치원
조선 도교의 개조 김시습
조선 단학파의 태두 정렴
조선 내단학의 대가 권극중
맺는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