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여자를 말하다 - 삶의 거울이 되는 영화 속 여자들의 인생 이야기
삶의 거울이 되는 영화 속 여자들의 인생 이야기!
23편의 영화 속 여자들의 인생을 거울삼아 깨달음을 주고 나답게 살아갈 용기를 주는 자기계발서다. 저자는 영화를 통해 주인공들이 겪는 다양한 상황을 간접적으로 경험함으로써 자기 일상의 한계를 넘어서는 시야를 가질 수 있게 된다고 말한다. 즉 영화 속 여자들의 삶을 보면서 내 삶을 돌아보고 스스로 성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화 속 배우들의 실감나는 연기를 보면서 그 인물에 감정이입을 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나라면 저 상황에서 어떻게 할까?’ 같은 질문을 던진다. 반대로 ‘저 여자가 나라면 지금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까?’ 같은 질문을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고 답을 하는 과정을 통해 비로소 ‘나’와 거리를 두고 볼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것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영화 속 여자들이 겪은 다양한 시련과 도전의 이야기는 여자로 태어나서 산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설사 실패한 삶일지라도 이야기로서는 빛이 난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여성이 주인공인 영화는 당연히 여성의 삶을 담고, 영화 속 드라마는 갈등을 전제로 한다. 갈등을 겪는 대부분의 이유는 그 여성이 놓여 있는 불합리하고 부조리한 삶과 관계의 조건 때문이다. 이 책이 엄마, 아내, 딸로 사는 것과 나로서 사는 것 사이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여자들의 삶을 보듬어줄 것이다. 영화 속 그녀들에게 연대감을 느끼고 이 사회가 여자인 당신에게 사회 구성원으로서 기대하는 성역할의 무게를 실감하고 있다면, 이 책이 큰 위로가 될 것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출과를 졸업하고, 뉴욕대학교 대학원(M.A. Performance Studies, NYU) 공연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건국대학교 영상영화학과에서 연기를 가르치고 있으며, 연출 대표작으로 어린이 뮤지컬 [목 짧은 기린 지피], 동물 탈놀이 [만보와 별별머리], 드라마 콘서트 [장기하와 얼굴들 - 정말 별 일 없었는지], 연극 [70분간의 연애], 퓨전마당극 [도화골음란소녀 청이] 등이 있다. 창작연희 페스티발 대상(2014), 제22회 서울어린이연극상 대상(2014), 김천국제가족연극제 대상과 연출상(2013)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
프롤로그 - 그녀들의 인생을 거울삼아 나답게 살아갈 용기를 얻었다
『영화, 여자를 말하다』 저자 심층 인터뷰
1장 결혼이라는 줄을 타는 여자들
2장 엄마의 여러 얼굴
3장 딸들의 그림자
4장 어둠 속의 여자들
5장 나이를 먹는다는 것
6장 나 자신으로 산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