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비교 사회학
시간에 대해 비교사회학적으로 탐색한 책. 시간이라는 추상적 관념을 특정한 공간을 구성하고 배치하는 사회적 관계 형식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했다.
마키 유스케 - 1937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사회학을 전공했고 2004년 현재 도쿄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책으로 <자아의 기원>, <기류를 울리는 소리>, <여행노트>등이 있다. 또 미타 무네스케라는 이름으로 <현대 일본의 감각과 사상>을 비롯한 여러 권의 책을 냈다.
이혜원 - 1976년생.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박사과정에 있다. 일본 고전을 전공하고 있으며 2004년 현재 교환학생으로 일본에 체류중이다.
최정옥 - 1971년생
시간의식과 사회구조
제1장 원시공동체의 시간의식
1. 성(聖)과 속(俗) - 의미로서의 과거
2. 공동시간성 대 공통시간성
3. 쟈마니의 해체 - 의미로서의 미래
제2장 고대 일본의 시간의식
1. 신화의 시간과 역사의 시간
2. 씨족의 시간과 국가의 시간
3. 세간의 시간과 실존의 시간
제3장 시간의식의 네 가지 형태
1. 시간의식의 네 가지 형태
2. 헬레니즘 - 수량적인 시간
3. 헤브라이즘 - 불가역적인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