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현재 한국사학이 처한 객관적 상황을 인식하고 그 전망을 확보하기 위해 역사학이 해야 할 임무가 막중함을 다시한번 확인하게 된다. 이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우리는 현재 역사학계에 부과된 과제에 대한 인식론적 재점검과 실제 구체적 작업 내용을 더욱 풍부히 해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국민 일반이 올바른 역사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배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이와같은 문제 의식에서 비롯되어 이 책은 한국사만이 아니라 동서양사의 현대 역사학을 점검하고 역사교육과 대중화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앞으로 다가올 21세시의 역사학을 전망하는 내용으로 꾸며졌다.
저자소개
강신익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을 졸업하고 인제대학교에서 의학박사학위를 받은 후 영국 웨일즈스완지대학교(University of Wales Swansea)에서 인문의학으로 문학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제대학교에서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역사・윤리・철학 등 인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그동안 몸에 대한 의학의 다양한 접근법에 관심을 가지고 글을 써왔다. 지금은 주로 면역학・신경학・진화유전학 등 새로운 과학이 우리의 삶과 의학을 어떻게 변화시킬지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중이다. 주요 저서로 『몸의 역사』, 『Philosophy for Medicine』(공저), 『의학개론』(공저)이 있으며, 역서로는 『환자와 의사의 인간학』, 『고통받는 환자와 인간에게서 멀어진 의사를 위하여』 등이 있다.
신동원
서울대학교에서 한국보건의료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카이스트 문화과학대학 조교수로 있다. 최근에는 조선 후기 환자와 의원의 역사, 근대 한의학의 역사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한국 보건의료사의 역사적 실체를 밝혀내는 방법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당대 사람들의 삶과의 관련성을 보여줄 수 있는 연구 방법에 많은 관심을 쏟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근대보건의료사』, 『조선사람의 생로병사』, 『한 권으로 읽는 동의보감』(공저), 『조선사람 허준』, 『호열자 조선을 습격하다―몸과 의학의 한국사』, 『한국 마의학사』, 『카이스트 학생들과 함께 풀어보는 우리 과학의 수수께끼』 등이 있다.
여인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기생충학으로 의학박사를 받았으며, 파리 7대학에서 서양 고대의학을 집대성한 갈레노스에 대한 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근에는 『히포크라테스 전집』을 그리스어 원전에서 한국어로 번역하는 작업과 한국 현대의학사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 권으로 읽는 동의보감』(공저)이 있고, 번역서로는 『라캉과 정신분석 혁명』,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 『7인의 정신분석가』(공역), 『정신분석대사전』(공역) 등이 있다. 그 밖에 한국 의학사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황상익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학생들과 의학사와 생명의료윤리학을 공부하고 있으며, 남북의 보건의료 협력과 교류를 위해 북한을 아홉 차례 오가기도 했다. 현재 대한의사학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최근의 학문적 관심사는 의학과 사회, 과학과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주요 저서로 『첨단의학시대에는 역사시계가 멈추는가』, 『인물로 보는 의학의 역사』, 『임상윤리학』, 「1950년대 사회주의 건설기의 북한보건의료』, 『황우석 사태와 한국사회』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생명이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그 밖에 의학사와 생명의료윤리에 관한 1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목차
책을 내면서 ...5
제1부. 한국 역사학의 새로운 모색
현대 한국사학의 과제 ...25
1. 역사와 현실:사회적 실천으로서의 역사학 ...25
2. 한국사의 체계화 ...36
3. 과학적 역사학과 21세기의 한국사학 ...55
한국근대사 인식의 계보와 유산 ...67
1. 문제제기 ...67
2. 전통:중국근대사 인식의 계보 ...69
3. 한국에서의 중국근대사연구:수용과 반성 ...77
4. 대안의 모색과 전망 ...83
프랑스혁명사 연구와 현대 역사학 ...88
1. 프랑스혁명에 대한 고전적 해석 ...90
2. 프랑스혁명에 대한 수정해석 ...97
3. 부르주아혁명관의 재생을 위하여 ...107
4. 맺음말 ...119
제2부. 한국 근현대사 연구의 이론과 방법
21세기의 한국근대사 연구와 신근대사론의 모색 ...125
1. 장기근대의 한국사회 변동과 식민지 근대화론 논쟁 ...125
2. 한국사학계의 근대사론:식민지 수탈론 ...128
3. 식민지 근대화론의 대두 ...133
4. 식민지 근대화론 논쟁의 비판과 반성 ...138
5. 신근대사론의 모색:장기근대사론 ...153
동아시아 담론과 한국근현대사 연구 ...164
1. 동아시아 담론의 범주와 인식의 편차 ...164
2. 동아시아 각국의 근대성 담론 ...167
3. 유교자본주의론의 이론체계 및 그 비판 ...180
4. 탈근대 담론과 한국근현대사 연구 ...195
분단에 대한 연역과 통일의 전제 ...212
1. 머리말 ...212
2. 분단체제론의 문제점 ...214
3. 남한 . 북한 . 미국의 비균형적 삼각관계 ...224
4. 분단의 내일은 통일? ...229
5. 2+4+6. 그리고 전쟁과 평화 ...234
6. 맺음말 ...239
제3부. 21세기 역사교육과 역사대중화
21세기 중등학교 역사교육의 방향 정립을 위한 제언 ...245
1. 머리말 ...245
2. 현행 중등학교 역사교육의 실태와 문제 ...247
3. 21세기를 향한 역사교육 ...265
4. 맺음말 ...287
21세기 역사대중화의 방향 ...290
1. 머리말 ...290
2. 역사대중화의 의미 ...292
3. 역사대중화의 전개과정과 현황 ...299
4. 역사대중화의 기능과 문제점 ...312
5. 역사대중화의 전망과 과제 ...318
참고문헌 ...326
지은이 약력 ...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