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즐겁게 배우는 생활 속 글쓰기
매일 똑같은 일기를 쓰는 아이들
일기를 쓰라고 하면 매일 똑같은 글을 쓰는 아이들이 있다. 어디 이뿐인가. 답을 뻔히 알면서도 시험시간이면 칸을 채우지 못하는 아이, 독서 감상문을 쓰라고 했더니 이야기의 줄거리만 쭉 늘어놓기도 한다.
앞뒤가 전혀 맞지 않는 문장을 연결하기도 하고, 뭔가 글을 길게 쓰지만 전혀 감동이 없는 참고서 같은 문장만 나열하는 아이들도 있다.
글쓰기에 서투른 아이들에게서 나타나는 가장 놀라운 문제는 잘 쓴 글과 못 쓴 글을 구분하지조차 못한다는 사실이다.
요즘 가장 부모들 속 태우는 과제, 글쓰기
이렇게 시작이 좋지 않은 아이들에게 글쓰기는 두려움의 대상이 된다. 처음부터 글과 친해질 기회를 갖기 못한 채 글쓰기의 필요성만 강요받기 때문이다. 대학입시부터 입사시험, 넘어서 사회적 리더로서의 자질로도 필요하게 된 글쓰기.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는 논술학원과 학습지에 맡겨두면 해결이 될 수 있는 문제일까? 과연 우리 아이들이 글쓰기와 친해질 방법은 없을까?
맛있는 음식도 먹어본 사람이 아는 것처럼, 글도 써본 사람이 잘 쓰는 법이다. 생활 속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글쓰기를 시도하고 있는 아이라면 어떤 장면에서 글쓰기와 마주쳐도 당황할 이유가 없어진다.
생활 속에서 하는 글쓰기
최근 생활 속 글쓰기라는 새로운 컨셉트의 도서[우리아이, 즐겁게 배우는 생활속 글쓰기]를 펴낸 독서전문가 남미영 박사는 부모들의 두려워하는 것처럼 글쓰기의 시작이 그렇게 어렵지 않다는 것을 지적한다.
TV 드라마 주인공인 금순이도 훌륭한 글쓰기 선생님이 될 수 있고, 인터넷 댓글을 달면서도 글쓰기 연습이 된다고 한다. 걱정만 하고 있을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좋아하는 인터넷 홈페이지, 아바타까지 모두 글쓰기의 에너지를 발산하는 기회가 되는 것을 인정하면 된다. 꾸중을 들은 날 끄적이는 낙서도, 방에서 몰래 읽는 만화도 모두 글쓰기 연습 상대가 된다. 직접 엄지북이라는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는 남미영 박사는 ‘생활속에서 배우는 즐거운 글쓰기 35작전’, ‘계단식 매뉴얼로 시작하는 생활 속 글쓰기 36작전’ 등 집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 85가지를 책으로 펴내 정리해 부모들의 걱정을 덜어주고 있다.
습관이 된 글쓰기가 바로 논술의 힘
이렇게 아무렇지도 않게 짧고 재미있는 글쓰기로 시작하면, 좀 더 긴 글, 좀 더 논리적인 글을 시도할 때의 고통이 적어진다. 특히 부모 형제간의 많은 대화와 독서는 아이 스스로 글쓰기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망을 자라게 한다.
당장 글을 못 쓰는 아이를 걱정하고 탓할 것이 아니라, 아이가 원하는 방법으로 글쓰기와 친해질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이 10년 뒤, 아이의 미래를 만드는 힘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