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시가 필요한 시간 - 시는 미래의 언어다
우리가 더 이상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를 때,
어느 길로 가야 할지 모를 때 비로소 진정한 여행은 시작된다.
시대가 삭막할수록, 그리고 미래가 암울할수록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좋은 시는 외롭고 허기진 우리를 살게 하면서 삶의 의미와 방향을 가르쳐주는 이정표와 같다. 시는 먹을 수도 쓸 수도 없는 것이라지만, 그 어떤 것보다 집요한 관찰과 무수한 고뇌, 통찰로 한 글자 한 글자가 빚어지기에 지층을 뚫고 올라와 찰나를 증언한다. 우리가 더 이상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를 때, 어느 길로 가야 할지 모를 때 이 멋진 안내자는 우리에게 해갈할 물을 주고, 여행의 목적과 방향을 알려준다.
자본주의에 밀려 시의 효용을 불신하는 이 시대에 우리의 정신은 더 가난해지고 심지어 퇴보하기에 이르렀다. 지난 세기 인류 문명을 이룩하고 발전시켜 온 시를 외면한 탓이 크다 하겠다. 이에 장석주의 시평론집 《지금은 시가 필요할 때》는 시의 효용을 다시 전면에 들고 나와 시가 이 시대와 개인을 어떻게 보살피고 새로운 길을 안내하는지 말한다. 저자인 장석주 시인도 책에서 “인간은 상상하고, 숙고하고, 꿈꾸는 능력으로 얻은 상징 능력으로 이전에는 알지 못하던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지의 지평으로 들어선다. 상징의 이해와 세계의 심연을 여는 키를 갖게 된 인간은 그만큼 더 유능해졌다.”라고 말하며 시의 유용함을 거듭 강조한다. 세계의 심연을 여는 키를 가진 인간이 얼마나 유능했는지는 역사가 증언해 주고 있다. 시는 하나에서 하나를 얻는 산수식이 아니다. 상징과 은유를 총동원해 인간의 정신을 깨우고 하나에서 열을 만들어내는 상상으로 세상을 확장하고 생동하는 기운을 가득 불어넣는다.
세계를 바라보는 천 개의 눈:
시는 미래의 언어다
참여 시인의 대가 김수영은 시를 “세계의 개진”이라고 말하였다. 시가 세계를 쪼개고 그 안을 펼쳐 보여주는 것이란 뜻이다. 지금 이 시대, 길을 잃은 우리에게 시가 왜 필요한지를, 그리고 시인의 소명이 무엇인지 다시 일깨워주는 말이 아닐 수 없다.
“낯익은 것에서 낯선 것을 보는 능력, 의외성을 가진 이미지들, 무의식에서 솟는 돌연한 감정들, 다양한 울림을 가진 목소리들, 이제까지 없던 음악, 어디서 오는지 모를 에너지, 순진무구한 주문, 기다림과 숙고와 완전한 몰입, 이런 것이 없이는 시도 없다. 이런 성분 없이 나왔다면 시란 언어의 무덤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우리가 기다리는 시는 불행과 격투를 마다하지 않는 시, 낡은 사물이나 생각을 바꾸는 상상력으로 가득 찬 시, 청춘의 착란 속에서 빛나는 미래 비전을 담은 시다.”(들어가기〈시가 나를 찾아왔다〉중에서)
시인은 세계 너머 보이지 않는 세계를 꿈꾸는 사람이다. 움직임이 없는 것들에 움직임을 부여하고 소멸하고 굳어가는 세상에 생명의 활기를 불어넣으며, 볼품없는 것들에 노래와 향기를 심는 존재가 바로 그들이다. 《지금은 시가 필요한 시간》에 수록된 김승희, 이기성, 이병일, 유진목, 이원, 유계영, 오은 등 스물아홉 분의 시편에서도 우리는 시인들의 상상과 고뇌, 그리고 창조자와 같은 놀라운 헌신과 능력을 들여다볼 수 있다. 저자는 가벼운 평론이라 해도 좋고, 시담, 시 에세이라 불러도 무방하다고 말한다. 이 다양한 목소리에서 우리 독자들이 다시 한번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고 ‘열린 세계’로 용기 있게 나아가기를 바란다.
시인ㆍ작가ㆍ비평가로 활동하고 있는 장석주(張錫周)는 충남 논산에서 태어났으며, 1975년에 『월간문학』 신인상 공모에 시가 당선하고 , 다시 1979년에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와 평론이 입상하면서 본격적으로 작품활동을 펼쳐왔고 『현대시세계』와『현대예술비평』 등의 문학 계간지를 펴내면서 당대의 첨예한 논쟁 속을 헤쳐나왔다. 그의 작품으로는 『햇빛사냥』『그리운 나라』『새들은 황혼 속에 집을 짓는다』『어떤 길에 관한 기억』『붕붕거리는 기억의 한때』『크고 헐렁한 바지』『등의 시집과 『한 완전주의자의 책 읽기』『비극적 상상력』『문학,인공 정원』 등의 문학 평론집을 냈다. 또 『낮선 별에서의 청춘』,『길이 끝나자 여행은 시작되었다』『세도나 가는 길』등의 장편 소설이 그에 의해 탄생 했다.1993년부터 시작하여 약8년여 동안 집필한 『한국문학 백년사』의 출간을 앞두고 있는 그는 현재 전업 작가이며, 그의 삶의 리듬을 기꺼워 한다.
저자소개
들어가기_시가 나를 찾아왔다
절망보다 희망이 더 괴로운 까닭은
존재란 얼마나 깨지기 쉬운 알인가
가난은 왜 우리를 소리 지르게 하는가
내가 너를 안을 때
얼마나 더 울어야 문장이 될까
우리는 언젠가 극장에서 만날 수도 있겠지
거울에 비친 상과 싸우다
가을날 햇볕 좋은 한 골목길에서
동물원에서 데이트를 한다는 것
당신이 수컷 늑대라면
촉촉하고 끈적거리는 곳에서의 한때
취해 잠든 당신의 눈꺼풀 뒤편
아침에 일어나 아침을 보았다
휘어지는 비와 물울로 가는 여행자
28개의 단어와 그것을 발음하는 목소리들
강함은 보이지 않는 곳에 있다
아이는 낡은 세계를 무찌른다
명확하거나 모호한 에그의 세계
시인은 말놀이를 사랑해
정오에 오는 것들에 대하여
환대가 필요한 이유
인간은 하나의 장소다
사랑은 연극적 감정의 연출일 뿐
먼 훗날 나무가 되어요
우산은 동그랗게 휜 척추들을 깨우고
이따금씩 커다란 나무를 생각해
수학 교실에서 웃은 소녀들은 어떻게 되었나
사과의 날씨가 지나간다
가장 빛나는 별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