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이해 - 미래의 행복을 디자인한다
다양한 분야의 엔터테인먼트 현장에서 종사하는 엔터테인먼트 전문가 25인이 집필한 엔터테인먼트 교재의 정석!
대한민국이 행복하려면 엔터테인먼트산업이 성장해야 한다!
오래전부터 음주가무를 즐겨온 우리 민족에게 ‘놀이’는 고통이나 강제성을 배제한 삶의 고단함을 잊게 해주는 활력소였다. 현재 우리 삶 속에서도 놀이 즉, 엔터테인먼트를 배제하고는 이야기할 수 없을 정도로 우리 일상은 무수한 엔터테인먼트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여전히 ‘노는 것’은 게으르거나 경박한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고 삶에서 느끼는 행복 지수 역시 낮은 것이 현실이다.
2008년 한국 갤럽조사에 따르면, 국민 4명 중 1명이 “한국에서 다시 태어나고 싶지 않다”고 답변하고 있다. 이제 노는 것, 즉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행복해지고 시대의 창의적 문화를 형성하는 본연의 기능이 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현대사회에서는 인간의 유희본능을 충족시키는 활동이 경제적으로도 높은 부가가치가 있다는 점에서 엔터테인먼트의 의미를 새롭게 받아들여야 한다.
따라서 이 책은 엔터테인먼트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여전히 장르별, 산업별 분절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사회 전반의 근본 인식을 바꾸기 위한 첫 번째 시도라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통합적인 관점에서 엔터테인먼트산업의 발전을 위한 근본적인 개선책을 제시한다.
전 문화관광부 차관 및 을지대학교 여가디자인학과 교수
여는 글 : 행복을 디자인한다
1부 엔터테인먼트 산업이란?
1장 엔터테인먼트산업의 개념과 형성
2장 엔터테인먼트산업의 특성과 중요성
3장 엔터테인먼트산업은 스토리텔링이다
2부 부문별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현황
서론. 엔터테인먼트산업 장르의 지형도
1장 라이브 엔터테인먼트산업 분야
공연산업
전시산업
이벤트산업
관광산업
테마파크산업
사행산업
2장 미디어 엔터테인먼트산업 분야
방송미디어산업
영화산업
게임산업
음악산업
애니메이션산업
만화산업
출판산업
캐릭터산업
모바일 콘텐츠산업
광고산업
3부 엔터테인먼트산업의 변화와 전망
1장 엔터테인먼트산업과 소비자
엔터테인먼트 소비의 특성
소비자의 비용 지출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의 성장
고령화 사회로의 이행과 엔터테인먼트산업
미디어 융합 시대의 콘텐츠와 이용자
문화 콘텐츠의 미래 진화 전망
2장 엔터테인먼트산업과 기술, 기업, 국제화
엔터테인먼트 기술변화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도전과 응전
문화의 국제화와 엔터테인먼트산업
3장 엔터테인먼트산업과 정책
한국의 엔터테인먼트산업 정책
세계 주요 국가의 엔터테인먼트산업 정책
지적재산권 보호와 엔터테인먼트산업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