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들은 다른 장소를 살아간다
책 속으로
장소가 의미 있으려면 소속감을 느끼고 나를 인정받는 곳이어야 한다. ‘소속감’을 느끼려면 동료가 있어 야 한다. 나의 부엌에는 그런 것이 없었기에 끔찍한 고립의 장소였고, 거기서의 경험은 나누거나 전승할 수 있는 경험이 아니라 신세 한탄이 될 뿐이었다. “나 이렇게 힘들었어”라고 운을 뗄 때마다 ‘또 시작이네’라는 눈총을 받는 이야기는 경험으로 전승될 수 없다. 바깥사람, 바깥일 하는 사람은 ‘돌아갈 집’, ‘기다리는 집밥’을 생각하며 버틴다지만, 부엌에 매인 사람에게는 돌아갈 곳이 없다. 안락을 낳는 장소에서 거기에 속한 사람은 정작 안락이 없다.
- <부엌>에서
긴장 속에서 연단에 설 때마다 두려움과는 다른 어떤 울렁거림도 있다. 그건 연단의 역사 때문이다. 지금 이 순간 내가 연단에 등장할 수 있기 위해 숱한 이들이 모욕감과 두려움의 자갈길을 밟아 왔다. ‘물러나는’ 것으로 사회 안에 머무르는 것을 허락받는 삶을 버리고, ‘튀어나오는’ 도발을 멈추지 않았기에 지금 나의 자리가 연단에 마련될 수 있었다. 여성들은 무리를 지었고, 금지된 장소를 점거했고, 문제의 장소를 원래 정해진 것과 다른 방식으로 사용했고, 어떤 장소를 버리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연단에서 끌려 내려온 일은 얼마나 많았던가.
- <연단>에서
내가 자라면서 본 할리우드 영화들 속에서 여성들의 여행은 부자 애인을 만나 결혼하기(신데렐라 되기), 사랑의 도피행(결국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되는), 혹은 폭력 남편이나 죽음의 위협 등 절박한 위험으로부터 도망치는 ‘장소 벗어나기’였다. “여기서 나가자( get out of here)”가 할리우드 영화에서 제일 많이 쓰인 대사라는데, 여성들 여행의 시작도 ‘일단 여기를 벗어나자’가 아니었을까.
- <여행지>에서
빈소는 글자 그대로의 뜻으로는 ‘상을 당하여 상여가 나갈 때까지 관을 놓아두는 곳’이다. 하지만 나는 그 글자에서 ‘텅 빈’ 장소라는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비어 있는 곳에서 벌어지는 장소 투쟁, 역할과 지위의 투쟁이라니, 뭔가 허탈하다. 상호 평등에 기초해 구성되고 유지되는 관계가 아니라 지정된 역할에 따른 차별적인 관계가 더 불거지는 곳, 사람은 살아서도 죽어서도 장소를 둘러싼 싸움에서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인가?
- <장례식장>
모든 혐오는 ‘제 장소를 벗어나 있다’고 느끼는 데서 시작된다. 모든 것에는 제자리가 있기에 벗어난 것 은 뭔가 오염되고 불결한 것이 된다. 오랜 세월, 집 ‘밖’에 나가 일하는 여성은 제 장소를 벗어난 존재로 취급됐고, 일하는 당사자는 ‘바깥’ 노동을 수치스럽게 받아들여야 했다. 여성이 밖에서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은 충분히 부양받고 있지 못하다는 신호였고, ‘안’에 있어야 할 것이 ‘밖’에 있는 것은 뭔가 이상한 것이 돼 버린다. “일 나간대”라는 말이 여성과 붙어 쓰이면 무슨 ‘탈선’의 증거인 양 수군거려졌다. ‘직업여성’이란 희한한 말이 통용되기도 했다. 이 말은 성매매에 종사하는 여성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제 장소에 있지 않다고 지목된 여성과 제 장소에 있는 여성(‘주부’)을 가르는 말로 ‘직업’이란 게 쓰였다는 게 괴이하다.
- <일터>에서
그런 자리에서 여성은 전통적으로 남성이 여성을 갈라 온 이중 잣대인 ‘창녀’와 ‘요조숙녀’ 사이에서 갈등한다. ‘파티 걸’ 역할을 잘하는 여성을 보면, 묘한 이중 감정을 느낀다. 질시와 거북함이 교차한다. 여성은 잘 끼어 놀아도 욕을 먹고 안 끼어도 욕을 먹는다. 사회적 유대와 관계의 장에서 배제되는 건, 내 개별성 때문이 아니라 여성이라는 사회적 지위 때문임을 실감하게 된다.
- <파티장>에서
1992년부터 2006년까지 ‘인권운동사랑방’ 활동가로 일했다. 그 후로 지금까지 ‘인권연구소 창’의 활동가로 있다. 두 단체 모두의 창립 구성원이다. 인권 활동에서 개인 수익을 갖지 않는다는 활동 원칙으로, 생계는 식당 알바로 해결하며, 인권 활동과 관련된 수입은 인권 운동에 써왔다.
뚱하고 말하기 귀찮아하는 성격에 긴 강연을 하는 것도, 방 밖에 나가기 싫어하는 성격에 온갖 집회를 쏘다니는 것도, 사교성 없고 냉정한 성격에 사람들과 술자리를 자주 갖는 것도 다 인권운동이 시킨 일이라서 한다. 글쓰기를 지독히 싫어하면서도 지금껏 일주일에 한두 편씩은 꼭 글을 쓰는 것도 마찬가지다. 언젠가는 이 모든 일을 진짜 즐겁게 하게 될 날을 소망하며 오늘을 동동거린다.
인터넷 주간인권신문인 〈인권오름〉에 주로 글을 써왔고, 『인권법』, 『아이들에게도 권리가 있다』, 『아이들의 인권 세계의 약속』, 『중학생을 위한 국제이해교육』, 『인권교육 길잡이』, 『군 인권 교육교재』 등을 여러 사람과 함께 썼다. 초등학교 6학년 읽기 교과서에 〈인권의 가치〉편을 쓰기도 했다. 2009년 현재 방송대학 TV의 〈인권법 강의〉 중 ‘류은숙의 인권문헌 읽기’를 가르치고 있다. “가장 낮은, 가장 약한 사람들의 열망으로 바꿔 온 인권의 역사”를 담은 《인권을 외치다》(푸른숲)을 썼다.
차례
부엌
연단
교실
광장
거리
쇼핑센터
여행지
장례식장
화장실
일터
헬스클럽
파티장
회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