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대방건축
한국의 건축문화유산인 사찰대방건축을 살펴보는 책. 조선시대 말기를 대표하는 한국 전통 건축물의 하나인 대방을 대상으로 용어 정의, 형성 배경과 전개 과정, 내외부 공간 구성과 입면 의장 특성, 그리고 이러한 대방이 나타나게 된 기원을 밝히고 대방의 등장과 발전 및 위축되는 전체 과정을 연속적으로 파악하면서 여기에 내재된 우리나라의 공간 정서와 철학을 고찰하였다. 또한 일본 정토종 사찰의 외부 공간 구성을 추가 기술하여 대방이 지닌 문화적 독창성에 대한 이해를 도와준다.
여행인 이지상은
1958년 태어나, 늘 밖으로 나가는 것을 꿈꾸었다. 서강대 정외과 졸업 후, 몇 년 동안 직장 생활을 하다가 1988년 마침내 꿈을 이룬 뒤 다시 조직으로 돌아가지 않은 채 여행과 글을 벗삼아 살고 있다.
마음 내키는 대로 여행을 하기에 몇번씩 가본 곳도 많고 아직 가보지 않은 곳도 많다. 아시아, 인도, 중동, 유럽, 아프리카, 러시아 등지를 다녔으며 못 가본 곳은 평생 천천히 여행할 생각을 갖고 있다.
머리말
제1장 대방-염불당-건축의 출현과 기원
제2장 공간 특성
제3장 의장 고찰
제4장 일본의 정토계 사찰 공간
맺음말
INTRODUCTION
CONTENTS
SUMMARY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