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를 위한 페미니즘
명료하고, 간결하고, 쉽게 읽히는
한 권으로 톺아보는 페미니즘 입문서!
미국의 대표적 페미니스트이자 사회운동가 벨 훅스가 요령부득한 학술용어만 가득한 두껍고 난해한 책이 아닌, 간결하고 명확해서 대충 건너뛰며 읽지 않아도 되는 친절한 페미니즘 입문서를 꿈꾸며 직접 써내려간 책이다. 배우 엠마 왓슨이 자신의 페미니스트 북클럽에서 강력 추천한 페미니즘 입문서로, 이후 엠마 왓슨은 벨 훅스와의 교류를 이어가며 “벨 훅스와의 페미니즘 대화는 언제나 즐겁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 미국에서 첫 출간 후 20년 넘게 페미니즘 교과서로 활용되고 있는 페미니즘 분야의 고전이라 할 만한 이 책은, 과거 국내에 『행복한 페미니즘』이라는 제목으로 한 차례 출간되었으나 절판되었다. 2015년 미국에서 출간된 개정판을 저본으로 문학동네에서 새롭게 펴내며 원제를 살리고 번역 또한 새로이 했다. 본문 뒤에는 여성주의 연구활동가 권김현영의 해제를 실었다. 권김현영의 해제는 한국 사회를 강타하고 있는 페미니즘 열풍을 차분히 되짚으며 왜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도 여전히 이 책이 유효한지 그 의의를 짚어본다.
벨 훅스는 페미니스트 하면 한 무리의 성난 여자들, 남자를 혐오하는 여자들이라는 편협한 이미지를 곧장 떠올리는 사람들의 편견을 바로잡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 한다. 그녀는 특유의 직설적인 문체와 통쾌한 논리로 여성의 몸, 여성에 대한 폭력, 연애와 결혼, 양육, 일터에서의 여성 등 여성의 삶 전반에 걸친 페미니즘 정치와 그 실천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해준다. 페미니즘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여성과 남성을 포함한 모두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떤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냈는지 보여주면서 페미니즘 운동이 ‘남성혐오운동’이 아닌 ‘성차별주의와 그에 근거한 착취와 억압을 끝내기 위한 운동’임을 강조한다. 또한 페미니즘 운동이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사랑하게끔 돕는, 나아가 우리 모두를 자유롭게 하는 해방운동임을 보여줌으로 페미니즘이 여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를 위한 것’임을 전한다.
대개 사람들은 페미니즘 하면 남자처럼 되고 싶은 한 무리의 성난 여자들을 떠올린다. 그들은 페미니즘이 권리에 관한 것이라고, 다시 말해 여자들도 동등한 권리를 누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운동이라고는 생각조차 해본 적이 없다. 내가 아는 페미니즘에 대해 조곤조곤 이야기해주면 그들은 기꺼이 내 말에 귀를 기울인다. 그러나 이야기를 마칠 즈음 곧장 이런 반응을 보인다. 당신은 남성을 혐오하고 늘 화가 나 있는 ‘진짜’ 페미니스트 같지 않다고, 당신은 다른 것 같다고 말이다. 이에 나는 나야말로 누구보다 진짜고 급진적인 페미니스트이며, 페미니즘을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덮어놓고 짐작했던 모습과는 다를 것이라고 힘주어 말한다.
이런 일을 겪을 때마다 상대에게 추천할 만한 얇은 책이 있으면 좋겠다 싶었다. “이 책을 한번 읽어보세요. 그러면 페미니즘이 뭔지, 페미니즘 운동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알 수 있어요.” 이렇게 권하게 말이다. 그 순간에 축약적이고 이해하기 쉽게 잘 읽히는 책이 손에 쥐여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요령부득한 학술용어만 가득한 두껍고 난해한 책이 아니라, 간결하고 명확해서 이해되는 부분만 대충 건너뛰면서 읽지 않아도 되는 그런 쉬운 책 말이다. 페미니즘 사상과 정치, 그리고 그 실천이 내 인생을 바꾼 순간부터 나는 그런 책을 원했다. 이런 책이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20년 넘게 생각만 하다가 결국 이 얇은 안내서를 직접 쓰며 염두에 둔 독자가 바로 앞서 언급한 젊고 늙은 남성들, 그리고 우리 모두다. 이런 책을 계속 기다렸지만 아무도 써주지 않았기에 결국 내가 쓸 수밖에 없었다. _‘서문’에서
미국의 흑인 페미니스트 사상가이자, 젠더·인종·계급·문화의 정치학에 관한 다수의 비평서를 집필한 문화비평가, 교육가, 영문학자. 미국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더욱 유명한 그녀는 미국 흑인여성운동의 대모이자, 세계불교여성지도자로 많은 활동을 하고 있으며, 현재 뉴욕시립대( City College of New York)에서 영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그녀는 1952년 미국 남부 켄터키 주의 흑인분리구역에서 태어나 1973년 스탠퍼드 대학을 졸업하했다. 1976년에는 위스콘신 대학에서 석사, 1983년 캘리포니아 산타 쿠르즈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0년대 미국 대학가를 뒤흔든 페미니즘에 심취했던 그는 스탠퍼드 대학에서 작가 다이안 미들러브룩의 여성학 강의를 통해 페미니즘에 눈을 뜨게 되었다. 그 후 그는 백인 중심의 영문학계에서 토니 모리슨 등 흑인 여성작가를 재평가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 1975년 탁낫한 스님의 제자인 찬콩스님을 만나 불교의 자비심을 배우고 인종, 성차별, 계급문화의 정치학에 관한 20여권의 비평서를 집필한 인기작가가 되었다. 예일 대학과 오벌린 대학 영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뉴욕시립대 영문학과 특별 교수Distinguished Professor로 재직하고 있다.
지적인 작업이 상아탑 안에만 갇혀 있는 것은 오히려 진정한 사상적 작업에 장애가 된다고 말해왔다. 70년대초, 당시 캠퍼스를 뒤흔든 페미니스트 운동의 영향으로 작가 다이앤 미들러브룩의 여성학 수업을 들으며 의식화 그룹의 유일한 흑인 여성으로 참여한다. 68세대로서의 경험 및 세컨웨이브 페미니즘과의 조우는 백인 여성뿐만이 아니라 훅스와 같은 젊은 흑인 여성들에게도 인종 및 성별 정체성을 다시 생각하게 만든 계기를 제공했다.
계급, 인종, 여성, 젠더, 평화,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집필 활동을 하고 있는 그녀는 세계적 대안 언론 <유튼 리더>가 선정한 ‘당신의 삶을 바꿀 100명의 지성’ 중 한 사람으로 뽑히기도 하였다. 그의 저서『나는 여자가 아닙니까 : 흑인 여성과 페미니즘(Ain't l a Woman : Black Women and Feminism)』는 「퍼블리셔스 위클리」에서 선정한 지난 20년간 여성이 쓴 책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책에 꼽힌 바 있다. 그 외의 저서로는 『페미니즘 이론: 주변에서 중심까지Feminist Theory: From Margin to Center』, 『행복한 페미니즘Feminism is for Everybody』, 『사랑의 모든 것All about love : new visions』등이 있다. 그녀는 현재 뉴욕에서 읽고, 쓰고, 가르치며 살고 있다.
개정판에 부쳐
서문 페미니즘에 한 발 더 가까이
1장 페미니즘 정치-우리가 서 있는 곳
2장 의식화-꾸준한 회심(回心)
3장 자매애는 여전히 강력하다
4장 비판 의식을 키우기 위한 페미니즘 교육
5장 우리의 몸, 우리 자신-임신선택권
6장 내면의 아름다움과 외모의 아름다움
7장 페미니즘 계급투쟁
8장 글로벌 페미니즘
9장 일터의 여자들
10장 인종과 젠더
11장 폭력 종식하기
12장 페미니즘 남성성
13장 페미니스트 부모되기
14장 결혼과 동반자 관계를 해방하기
15장 페미니즘 성정치-상호자유의 윤리학
16장 완전한 행복-레즈비어니즘과 페미니즘
17장 다시 사랑하기 위하여-페미니즘의 심장
18장 페미니즘적 영성
19장 페미니즘의 미래
해제 우리에게는 미래가 ‘있다’ _권김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