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는 사람이 없는 편이 좋다
일본의 대표 사상가 우치다 다쓰루가 던지는 책 이야기. 종이책과 전자책, 도서관과 사서, 학교 교육, 출판계, 독립서점 등 책을 둘러싼 이제껏 접하지 못했던 이야깃거리를 총망라한다. 깊은 성찰을 토대로 한 선생의 번뜩이는 아이디어는 책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즐거운 화두가 된다.
"저 : 우치다 다쓰루(內田樹)
여전히 책만이 열 수 있는 새로운 세계가 있다고 말하는 애서가이자 책이 놓인 공간의 힘을 믿는 장서가이며 책은 물론이고 주변의 글까지 섭렵하는 ‘활자 중독자’.
도쿄대학교 불문과를 졸업하고 도쿄도립대학 대학원의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박사과정 중에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곤란한 자유』를 읽고 감명받아 평생의 스승으로 삼고 레비나스 철학 및 반유대인 사상을 연구했다. 블로그 ‘우치다 다쓰루의 연구실’을 운영하며 문학, 철학, 정치, 교육, 영화, 무도 등 다양한 주제로 거침없이 뻗어 나가는 글로 비판적 지성을 보여 주어 ‘거리의 사상가’로도 불린다.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 『하류지향』, 『스승은 있다』 등 60여 권의 단독 저서와 70여 권의 공저· 대담집 등을 펴냈다.
역 : 박동섭
사상가와 철학자들의 언어를 대중도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설명하고 알리고자 애쓰고 있다. 『성숙, 레비나스와의 시간』, 『에스노메소돌로지』, 『동사로 살다』, 『우치다 선생에게 배우는 법』등을 썼고, 『단단한 삶』, 『심리학은 아이들 편인가』, 『레비나스 타자를 말하다』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들어가는 말 : 이런 책이 읽고 싶었다
1장 : 도서관에 관하여
도서관에는 사람이 없는 편이 좋다
도서관은 내가 얼마나 무지한지 가르쳐 주는 장소다
도서관은 현실과 ‘이 세상에 속하지 않은 것’ 사이에 존재한다
도서관은 새로운 세계로 통하는 문이며 사서는 문지기다
도서관에 마녀가 있을 곳을 확보해야 한다
2장 : 책에 관하여
인류는 종이책보다 더 나은 것을 발명하지 못했다
책은 지금 여기에 없는 필요를 위해 존재한다
책은 독자를 ‘지금이 아닌 시대, 여기가 아닌 장소’로 데려간다
책장에는 나의 이상적 자아가 담겨 있다
읽지 않은 책에 둘러싸여 여생을 보내는 일
독‘서’(書) 대신 독‘자’(字)
3장 : 출판에 관하여
독자는 소비자가 아니다
책은 상품이 아니다
종이책과 전자책은 완전히 다르다
출판은 독자를 이끄는 전도 활동이다
옮긴이의 말 : 우치다 다쓰루 팬을 한 명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하여
추천의 말 : ‘도서관적 시간’을 되찾기 위하여 (이용훈 도서관문화비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