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를 뒤흔든 40가지 사건 - 20세기 한국사의 변곡점을 만들어낸 순간들
‘굴곡진 사건, 일상의 시간이 특별한 역사가 될 때’
세상을 뒤흔든 무참하고 비정한 사건들의 초상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세계는 쉽게 구분되지 않는다. 개인의 삶이 외력과 무관하기 힘들고 역사의 수레바퀴가 대중에 의해 굴러가곤 한다. 역사적 사건들과 우리 삶이 연결되어 있고 함께 특별한 역사를 만들어 왔다. 하여 크고 작은 사건 사고들로 우리가 살았던 시간을 돌아볼 수 있겠다. 하나하나 되짚어보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4.19 혁명, 5.18 광주민주화운동, 6월 민주항쟁 등은 시대의 한복판에서 군중의 일원으로서 세상을 바꾸자고 한목소리로 외쳤던 경험의 일환이다. 일상의 시간이 특별한 역사가 되는 순간이었다. 누군가는 역사의 주인공으로 우뚝 섰을 것이다. 앞으로도 사회적 기대와 미래에의 희망을 지닌 채 세상을 뒤흔들 사건들이 계속 일어났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런가 하면 와우아파트, 성수대교,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등은 성장 사회의 부실한 민낯이자 끔찍한 자화상이라 할 만하다. 다시는 일어나지 않아야 할 무참하고 비정한 참사다. 한국 사회 전체에 정신적 트라우마를 일으킬 아픈 기억으로 남아 있다. 너무 빨리 잊어버리거나 금방 기억하지 못할 이야기로 치부되지 않았으면 한다.
‘광주대단지 사건부터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까지’
크고 작은 사건 사고로 돌아보는 우리가 살았던 시간들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빵과 장미의 시간들’이라는 부제를 단 1부에선 성장의 시대에서 자유와 평등을 외친 이들의 이야기를 들여다본다. 유기당한 빈민들의 광주대단지 사건, 노측의 나체 시위를 사측이 똥물 세례로 되받아친 동일방직 여직공 복직 투쟁, 30년 만에 재회한 이산가족찾기 특별생방송 등이 흥미롭다. ‘욕망과 추락의 시간들’이라는 부제를 단 2부는 역사를 바꾼 몰락의 얼굴들을 정면에서 바라볼 기회를 제공한다. 사카린 밀수 사건부터 국회 오물 투척 사건까지 이어지는 1966년의 한때, 성탄절에 일어난 세계 최대 호텔 ‘대연각’ 화재 참사, ‘건국 이래 최대 사기극’이라 불린 장영자 어음 사기 사건 등이 몰락의 얼굴들이다. ‘죄와 벌의 시간들’이라는 부제를 단 3부는 시대가 낳은 범죄를 재구성해봤다. 박상은 양 피살 사건, 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지강헌 탈주 사건, 박한상 존속 살해 사건 등이 폐부를 찌르는 듯하다. ‘분노와 슬픔의 시간들’이라는 부제를 단 4부에선 한국 현대사 속 만들어진 괴물을 엿볼 수 있다. 국가의 이름으로 경찰이 자행한 성폭력, 미군이 저지른 잔혹한 성범죄, 법망의 사각지대에서 은밀하게 존재한 근친 성폭행과 아동 성폭행까지. 괴물과 짐승의 시간을 헤쳐나온 이들이 무해하길 소망한다.
지식 채널 ‘아홉시’에서 작가로 활동하며, 매주 새로운 글을 연재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현재는 성균관대, 한양대, 방송대 등지에서 강의하며 학생들과 문학·문화와 역사에 대해 논하고 있다. 인문학협동조합원으로서 ‘앎’과 ‘삶’의 일치를 추구하며, ‘머리’와 ‘몸’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살아가고 싶어 한다.
오랜 시간 학교와 광장을 가리지 않고 학생과 시민 들을 만나왔다. 오래된 신문과 잡지 읽기를 즐기며, 책과 영상 가리지 않는 잡식성 인문학자이기도 하다. 지은 책으로 『팽목항에서 불어오는 바람』(공저), 『기계비평들』(공저), 『진격의 독학자들』(공저) 등이 있다.
독자들이 이 책에 나오는 인물들의 업적과 명성에 주목하길 원하지 않는다. 이들의 처절하고 외로운 삶을 들여다보며 ‘나만 고통스럽고 힘든 건 아니었구나’ 하는 위로를 얻길 바란다. 혹은 이 책이 도전과 변화의 자세를 잃지 않겠다는 각오를 다잡는 계기가 되어도 좋겠다.
들어가며
1부 성장의 시대, 자유는 있는가 ⁝ 빵과 장미의 시간들 ⁝
2부 역사를 바꾼 몰락의 얼굴 ⁝ 욕망과 추락의 시간들 ⁝
3부 시대가 낳은 범죄의 재구성 ⁝ 죄와 벌의 시간들 ⁝
4부 한국 현대사 속 만들어진 괴물 ⁝ 분노와 슬픔의 시간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