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에 간 철학
철학자가 영화를 읽으며 깨달은 이치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다”
『영화관에 간 철학』 전체를 관통하는 철학적 문제가 있다. ‘인간이 이성의 동물인가 감정의 동물인가’ 하는 것이다. 중년의 철학자인 저자는 책을 통해 대체로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라는 쪽에 손을 든다. 영화를 읽으며 깨달은 이치이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미래를 다룬 ‘매트릭스 4부작’이나 사랑을 다룬 〈감각의 제국〉과 재미를 다룬 〈비긴 어게인〉 등으로 들여다본 철학 논제들 모두 인간이 감정의 동물이라는 걸 뒷받침한다. 정의를 다룬 ‘배트맨 3부작’조차도 그러한데, 저자는 〈다크 나이트〉의 하이라이트인 조커가 기폭 장치 작동으로 시민과 죄수 간의 ‘죄수의 딜레마’를 이용해 악의적인 장난질을 칠 때도 냉철한 이성이 아닌 감정적인 양심이 작동했다고 말한다. 의외인 듯하지만 맞는 해석이다.
〈매트릭스〉부터 〈어벤져스〉 〈다크 나이트〉까지
주옥같은 22편 영화 속 철학 이야기
이 책은 총 5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매트릭스 시리즈 4부작으로 불투명한 ‘미래’를 전한다.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무너진 이야기를 다루고 기계가 인류와 세계를 지배하는 미래를 보여주며 미래에도 인간이 자유 의지로 선택할 수 있을지 의문을 던진다.
2부는 ‘사랑’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어바웃 타임〉과 〈건축학개론〉으로 결함투성이 사랑을 말하고 〈첫 키스만 50번째〉를 통해 사랑과 섹스가 결핍이 아니라 생산이라고 설파한다. 한편 〈친구와 연인사이〉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감각의 제국〉도 다뤘다.
3부는 ‘재미’를 들여다보고자 한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와 〈어벤져스: 엔드게임〉으로 시간과 공간도 잊게 하는 재미를 결정짓는 요소가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기생충〉 〈Permission To Dance〉로 개별, 특수, 보편의 개념과 의미를 고찰해 전 세계를 매료시킨 가장 한국적인 게 무엇인지 맞춰 봤다. 한편 〈비긴 어게인〉도 다뤘다.
4부는 ‘관계’의 핵심을 파고들어 본다. 〈변호인〉 〈그랜 토리노〉로 남이 나로 받아들여지는 이야기를 전하고 〈그랑블루〉로 인간과 동물 간의 공감 형성에 관해 들여다본다. 한편 〈007 노 타임 투 다이〉 〈대부 2〉도 다뤘다.
5부는 배트맨 3부작으로 ‘정의’란 무엇인지 고찰해 본다.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가 다룬 공리주의, 법칙론, 자유지상주의, 평등주의, 목적론, 공동선 이론을 가져와 영화들의 핵심 철학에 맞춰 풀이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데카르트의 철학 체계에서 형이상학과 과학의 관계」(1996)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대진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있다.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파트너 채널에 이 책의 마중물이 되는 <김성환의 영화 한 컷, 철학 한 마디>를 연재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에서 인문학단장으로 일했다.
새로운 자연 철학을 세우려는 꿈으로 근대 자연 철학을 연구해 『17세기 자연 철학』(2008)을 썼다. 이 책은 제6회 한국출판문화대상에서 대상을 받았다. 『동물 인지와 데카르트 변호하기』(2016)는 2017년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에 선정되었다. 서양근대철학을 연구해 『서양근대미학』(공저, 2012), 『서양근대철학』(공저, 2001) 등을 썼다. 어려운 철학 내용을 쉽게 풀이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동물원에서 시작하는 사회탐구』(2019), 『나꼼수로 철학하기』(2012), 『영화로 생각하기』(공저, 2005), 『대중 음악 속의 철학』(2001), 『나는 본다, 철학을』(1998) 등을 썼다.
들어가며 _ 눈을 선물해보셨나요?
1부 영화도 철학도 미래가 불투명할 때 시작된다
2부 영화도 철학도 사랑을 찾아 나서는 일이다
3부 영화도 철학도 재밌을 때 가장 가치 있다
4부 영화도 철학도 관계의 연속이다
5부 영화도 철학도 정의가 핵심이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