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은 어른이 되는 법은 잘 모르지만 - 처음이라서 서툰 보통 어른에게 건네는 마음 다독임
“괜찮은 어른이 되는 법은 잘 모르지만
오늘의 나를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법은 알게 되었다.”
어른아이, 어른이 등 나이는 먹었지만 마음은 아이인 채로 아이와 어른의 경계에서 고민하는 청춘들이 많다. 이처럼 ‘어른’이 되기를 두려워하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현상 속에서 저자는 ‘어른은 어른다워야 한다’는 사회가 강요하는 어른의 굴레에서 벗어나 ‘진짜 어른’이란 무엇인가를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조금 헤맬지라도 스스로 괜찮은 어른으로 살 방법을 고민하고, 어른이 처음이라서 부딪는 일들에 자책하지 않고 현명하게 이겨내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어쩌면 이 시대 오늘을 살아가는 어른들에게 진정 필요한 것은 “조금 서툴러도 괜찮다”며 “그렇게 어른이 되어가는 것”이라고 건네는 따뜻한 위로와 응원일지 모른다.
어른이 처음인 당신에게 건네는
진심 어린 위로와 응원의 메시지
어른의 세계에 진입한 저자는 어떤 결정 앞에서, 인간관계 속에서, 사회적 통념 안에서 좋지만 싫기도 한 양날의 검 같은 어른의 삶과 마주한다. 마음껏 원하는 것을 먹고, 가고 싶은 곳을 가고, 목표를 이루어가는 기쁨을 즐기면서도 한편으론 삶과 일, 미래에 대해 고민하며 어른의 굴레에 갇힌 경험, 꿈꾸던 회사에 들어간 친구가 몸과 마음에 병들어가는 모습을 묵묵히 바라보아야 했던 일, 굳이 남에게 근심걱정을 얹어주고 싶지 않아 속마음을 감춘 채 혼자 삭혔던 일 등을 경험하며 좌절한다.
어른으로 살며 쉽게 흔들리고 길을 잃는 과정은 ‘어른’으로서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힘겨운 어른 살이에서 저자처럼 자신만의 중심을 잡고, 위로하며 살아간다면 조금 더 괜찮은 어른으로 행복해진 자신과 마주할 것이다.
숨 쉬듯이 책을 읽으며 그림과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그녀는 ‘진정한 성공이란 후회 없이 자신에게 주어진 하루를 열정적으로 만들어나가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일상의 소소한 순간을 즐기고, 자잘한 슬픔은 농담처럼 넘기며 오늘 이 자리를 충실히 살아가는 사람이야말로 행복할 자격이 있는 사람이라 생각한다. 경영학을 전공했고, 파티컴퍼니를 경영하면서 파티플래너, 의상 디자이너, 의류숍 공동운영자, 광고대행사 마케팅 담당, 지면 모델, 뷰티컨설턴트, 전시기획자로 활동한 바 있다. 그 과정에서 20대에 다양한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 시간들을 통해 ‘사람을 얻는 자가 시대의 주인공이 된다’는 말을 몸소 경험했다. 지금은 20대의 멘토로서 작가와 컨설턴트로 활동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20대 여자를 위한 자기발전노트』, 『하이힐 신고 독서하기』, 『그림에서 만난 나의 멘토』 등이 있다.
저자소개
프롤로그
1장-우리는 모두 첫 어른이야
2장-달콤쌉싸름한 어른의 맛
3장-지금 있는 그대로의 내가 좋아
4장-두려움에게 인사하는 법
5장-생각보다, 생각만큼 괜찮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