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는 사람들의 시간관리
왜 항상 시간에 쫓기는가?
요즘 우리 주위에서 바쁘다, 시간이 없다는 말을 입버릇처럼 하는 사람들을 많이 본다. 너나 할 것 없이 모든 사람들이 시간에 쫓기며 산다.
도대체 왜 그럴까?
경기 여건이 좋지 않아 회사에서 꼭 필요한 극소수의 사람들만 채용하기 때문에 업무량이 많아서 그럴 수도 있다.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단기간에 신상품 개발과 비용 절감, 판매 전략 수정 등 분명히 일이 옛날보다 많아졌고, 무슨 일이든지 신속을 요하기 때문에 시간에 쫓기면서 일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또 IT 산업의 발달은 우리의 의식구조를 바꾸어 놓았다. 원래 인터넷의 활용은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부수적으로 우리의 생활을 재촉하고 있다. 하루에 몇 번씩 이메일을 확인하지 않고는 안 되게 되었으며, 이메일 답장에도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되었다.
또 화상회의는 편리하지만 통신 비용을 생각하면 시간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인터넷을 통한 주문이나 수주 발급도 업무 효율에서 도움을 주지만, 시간 감각을 완행이 아닌 급행으로 몰아가고 있어서 우리를 매우 성급하게 만들고 있다.
이제 무슨 일을 하든지 신속을 요하며 시간의 끝없는 재촉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성공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시간 관리가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가 되었다. 주어진 시간을 가장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하루 24시간이 아닌 25시를 살지 않으면 오늘날과 같은 스피드 시대에 살아남지 못하게 되었다.
당신은 시간을 잘 활용하고 있는가?
시간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졌다. 균등하게 배분된 시간과 정해진 시간을 가장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창조적인 삶을 살아가는 비법을 본서에서 제시하였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아주대학교 등에 출강하였으며, 2010년 현재 서울대학교에서 강의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전소설을 전공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대하소설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조선후기 대하소설의 다층적 세계관> 등 현대에도 많은 시사점을 주는 대하소설의 주요 테마들을 연구하고 있다
머리말
제1장 시간 관리의 정의와 의미
제2장 시간 관리의 기본 원칙
제3장 시간 창조 비결
제4장 하루 24시간 활용법
제5장 새벽 4시간 활용법
제6장 상황별 시간 관리의 기술
제7장 업무에서 시간 절약의 기술
제8장 호율적인 시간 관리
제9장 직장인의 시간 관리
제10장 저녁형 인간에서 아침형 인간으로
제11장 리더의 시간 관리
제12장 잘못된 시간 관리와 바른 방법
제13장 인생이 풍요로워지는 시간 활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