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극, 가능성의 연극
무대의 등장으로부터 한국 현대연극은 시작되었다. 아니 정화갛게는 "극장의 등장과 창극의 발생"으로 시작되었다. 대부분은 한국 근대연극의 출발을 1902년 협률사의 설치로 잡는다. 그 이유는 협률사 설치 이전과 이후에 무언가 근본적인 변화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1980년 강원도 원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8년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이후 프랑스에 유학하여 파리 제3대학(소르본느 누벨)에서 연기로 석사학위를, 연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 이후 현재까지 광주에 있는 호남대학교 다매체영상학과(연극영화학과)에 재직 중이다. 「뮤지컬에서 발성에 대한 연구」(공연문화 12, 2006), 「피터 브룩의 부프 뒤 노르」(프랑스 문화연구 13, 2006), 「한국적인 뮤지컬의 탄생 조건에 대한 연구」(프랑스 문화연구 15, 2007), 「프랑스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의 구성연구」(프랑스 문화연구 17, 2008), 「한국 라이선스 뮤지컬의 현실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공연문화연구 18, 2009)를 비롯하여 약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화술 A to Z(소명출판, 2006)과 연극제작 이렇게 한다(개정판, 예니, 2009) 등 12권의 저작과 번역을 출판하였고, <생활의 발견>(작/연출, 2006), <과일인간>(연출, 2006), <뜨거운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연출, 2007), <창작뮤지컬 위대한 유산>(작/연출, 2008), <창작뮤지컬 아련히 떠오르는>(작/연출, 2008), <창작뮤지컬 사랑은 소리 없이>(작/연출, 2009), <그녀들 옥상에 오르다>(작/연출, 2009) 등 총 15편의 공연을 연출하거나 쓰고 연출했다.
책머리에
제1부 오늘의 한국연극
1장 한국연극의 전통단절
2장 한국연극에서 공간의 문제
제2부 가능성의 연극
1장 탐구의 가능성 - 아방가르드 연극의 시도
2장 방법의 가능성 - 연국언어의 다양성
3장 연기의 가능성 - 모방의 극복
4장 공간의 가능성 - 빈 공간의 탐구
5장 연출의 가능성 - 코러스의 필요한 역할
제3부 연극 활성화의 조건
연극의 활성화 조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