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영화, TV 영상제작론
베테랑 영상제작자가 알려 주는 영상제작의 모든 것
19세기 세상에 ‘영화’가 등장한 이래 영상은 많은 발전을 해 왔다. 기술의 발전으로 TV, 영화관, 스마트폰 등 영상을 즐길 수 있는 매체가 다양해진 지금, 우리는 말 그대로 영상 속에서 삶을 살아가고 있다. 《영화, TV 영상제작론》은 영상의 시대를 살아가며 자신만의 영상을 만들고 싶어 하는 영상제작자들에게 영상제작의 모든 것을 알려 주는 책이다.
저자는 1977년 KBS에 입사하여 다큐멘터리, 뮤직드라마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하며 쌓아 온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영상제작에 필요한 모든 이론을 총 정리했다. 극, 스토리텔링의 기원부터 영화와 TV의 발전 과정을 통해 영상의 역사를 설명하고, 영상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편집과 실제 현장에서 활용되는 촬영기법, 무대 디자인 등을 실제 영화와 프로그램을 예시로 들어 설명했다. 또한 앞으로의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컴퓨터 그래픽스에 관한 설명을 더해 영상제작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모두 다루고 있다.
《영화, TV 영상제작론》은 수많은 영상이 넘쳐흐르는 시대, 탄탄한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영상을 만들기를 꿈꾸는 영상제작자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경력
1978년 3월 14일 한국방송공사(KBS) 공채 5기 입사
1996년 10월 1일 KBS 부산방송총국 편성제작국 영상담당부장 발령
2001년 7월 1일 KBS 제작본부 영상제작국 총감독(부장) 임명
2004년 12월 1일 KBS 초대 6인 전문가(영상전문위원) 임명
2006년 6월 31일 KBS 정년퇴임
강의 경력
2005. 8. 1. - 2006. 7. 31.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대 언론영상학과(영상개론, 영상과 편집 - 겸임)
2007. 8. 1. - 2010. 4. 30. 동아 방송 예술대학 미디어학부, 인터렉티브 컨텐츠학과(교수)
2005. 8. 1. - 2008. 2. 28. 서울 예술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영화/TV 공간디자인 무대미술 - 초빙)
2011. 9. 1. - 2013. 8. 31. 우송대학교 디지털미디어대학 방송미디어학부(영화/TV 프로그램제작 - 교수)
2009. 3. 1. - 2010. 3. 1.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편찬위원(고등학교 교재 ‘촬영 조명’ - 연구진)
1 영상 제작의 역사적 고찰
2 영화/TV의 내러티브 구조
3 편집(몽타주-Montage)
4 영화의 분석과 해석
5 영화/TV의 촬영기법과 영상미학
6 영화/TV 무대 디자인
7 컴퓨터 그래픽스와 시뮬레이션 영상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