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분 고전 019] 중국이 보배로 여긴 명문 - 고문진보 후집
《고문진보(古文眞寶)》는 중국의 전국(戰國)시대부터 송대(宋代)까지의 시문(詩文)을 송나라 황견(黃堅)이 전ㆍ후집으로 엮은 책이다. 전집에는 고시(古詩), 후집에는 고문(古文)이 주로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고문진보》 중에서 우리에게 가장 많이 알려지고 아름답게 느껴진다고 생각되는 시문만을 선별 번역하였다.
목차
1. 굴원(屈原) / 어부사(漁父辭)
2. 이사(李斯) / 상진황축객서(上秦皇逐客書)
3. 중장통(仲長統) / 낙지론(樂志論)
4. 제갈량(諸葛亮) / 출사표(出師表)ㆍ후출사표(後出師表)
5. 왕희지(王羲之) / 난정기(蘭亭記)
6. 이밀(李密) / 진정표(陳情表)
7. 도연명(陶淵明) / 귀거래사(歸去來辭)
8. 도연명(陶淵明) /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
9. 이백(李白) /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
10. 한유(韓愈) / 원인(原人)ㆍ원도(原道)
11. 한유(韓愈) / 사설(師說)
12. 한유(韓愈) / 획린해(獲麟解)
13. 한유(韓愈) / 백이송(伯夷頌)
14. 백거이(白居易) / 양죽기(養竹記)
15. 두목(杜牧) / 아방궁부(阿房宮賦)
16. 범중엄(范仲淹) / 악양루기(岳陽樓記)
17. 구양수(歐陽脩) / 취옹정기(醉翁亭記)
18. 구양수(歐陽脩) / 추성부(秋聲賦)
19. 구양수(歐陽脩) / 붕당론(朋黨論)
20. 소순(蘇洵) / 관중론(管仲論)
21. 소식(蘇軾) / 전적벽부(前赤壁賦)ㆍ후적벽부(後赤壁賦)
22. 소식(蘇軾) / 희우정기(喜雨亭記)
23. 주돈이(周敦?) / 애련설(愛蓮說)
24. 주돈이(周敦?) / 태극도설(太極圖說)
25. 정이(程?) / 사잠(四箴)
26. 장재(張載) / 서명(西銘)ㆍ동명(東銘)
27. 여대림(呂大臨) / 극기명(克己銘)
작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