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연당한 사람들을 위한 일곱시 조찬 모임
2006년 문학동네 신인상으로 등단한 이후, 젊은 여성들의 일과 사랑, 그 안에 감춰진 욕망을 다양한 각도로 변주하며 한국문학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백영옥의 신작 소설. 특유의 경쾌한 문체와 스피디한 전개가 돋보였던 기존의 작품들과는 달리, 이번 작품에서는 세 사람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사랑과 연애, 이별에 대한 내러티브가 담담한 시선과 섬세한 필치로 균형과 긴장을 잃지 않고 유감없이 펼쳐진다.
투명하면서도 아름다운 서사, 단단하면서도 감수성 넘치는 문장들은 소설 전체를 관통하며 현실 속에서 우리가 흔히 겪는, 그러나 결코 익숙해질 수 없는 실연의 상처와 고통, 아픔을 어떤 포장도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가감 없이 보여준다.
실연을 겪은 사람들의 고통은 결코 추상적이지 않다. 실연은 슬픔이나 절망, 공포 같은 인간의 다른 감정들과 다르게 칼에 베였거나 화상을 입었을 때의 선연한 느낌처럼 구체적인 통증을 수반하면서 ‘거절’이 인간에게 남길 수 있는 가장 치명적인 형태의 상처를 남긴다.
일상의 사람들에게 오전 일곱시는 어떤 시간일까. ‘실연당한 사람들의 일곱시 조찬 모임’이라는 레스토랑에서 진행되는 동명의 모임은 트위터를 통해 공지가 확산되었고, 21명의 사람들이 모임 당일 오전 일곱시에 레스토랑으로 모인다. 오전 일곱시에 모여서 함께 밥을 먹고, 영화를 보고, 실연의 기념품-차마 버리지 못한 채 가지고 있는 사랑의 상흔들-을 교환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이 모임에서 세 남녀의 인연이 얽히기 시작한다.
작가는 소설을 통해, 우리는 모두 상실을 경험한 적이 있고 그 때문에 서로의 상실을 이해하고 보듬어줄 필요가 있음을 호소하며, 어쩌면 모두가 상실의 공동체라는 운명적 카테고리에 묶여 있는 것은 아닐까 고민하게 만든다. 실연의 상처 앞에 속수무책으로 무너지기도, 그렇다고 아무 일 없었던 듯이 다시 일어설 수도 없어 방황하는 이들의 처연한 모습은 독자들의 폐부를 찌르며 같은 경험에 대한 공감과 함께 그를 통한 위안을 안겨줄 것이다.
* 관련 음성 파일 다운받으러 가기
패션지 기자로서의 경험을 토대로 젊은 여성들의 사랑방식을 알콩달콩하게 그려내는 작가로 1974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빨강머리 앤’과 ‘키다리 아저씨’를 좋아하는 유년기를 보냈다. 책이 좋아 무작정 취직한 인터넷 서점에서 북 에디터로 일하며 하루 수십 권의 책을 읽어치웠다. 미끌거리는 활자 속을 헤엄치던 그때를 아직도 행복하게 추억하고 있다.
패션지 「하퍼스 바자」의 피처 에디터로 일했으며 2006년 단편 『고양이 샨티』로 문학동네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고생 끝에 오는 건 ‘낙樂’ 아닌 ‘병’이라 믿으며, 목적 없이 시내버스를 타고 낯선 서울 변두리를 배회하는 취미가 있다. 2007년 트렌드에 관한 발랄한 글쓰기가 돋보이는 산문집 『마놀로 블라닉 신고 산책하기』을 펴내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첫 장편소설 『스타일』로 제4회 세계문학상을 수상했다. 2000년대 한국 여성들의 사랑 방정식을 간결한 문체와 흡입력있는 스토리로 표현해 주목을 받고 있는 소설가이며, 2008년에서 2009년에 걸쳐 YES24블로그에 장편소설 『다이어트의 여왕』을 연재하였다. 2011년에는 등단작인 문학동네신인상 수상작 「고양이 샨티」를 비롯해 총 여덟 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는『아주 보통의 연애』를 발간했다.
1부. 오전 일곱시의 유령들
2부. 실연당한 사람들을 위한 일곱시 조찬 모임
3부. 시속 150킬로미터
4부. 모두 123쌍의 커플들
5부. B747-400
6부. 인천국제공항
7부. 호텔 생활자
8부. 도쿄
9부. 슬픔이여, 안녕
작가의 말
백영옥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