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개혁과 민주주의
거시적으로 볼때 한국 민주화운동은 언어와 행동의 급진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의 근간을 거의 변화시키지 못하였다. 민주화 운동의 시각에서 한국 사회의 바람직한 변화와 발전을 구상한 책. 한국 사회의 역사와 구조의 이해속에서 민주와 개혁의 방향을 제시했다.
001. [정치사회의 개혁] (15)
002. 김대중정권의 의미는 무엇인가? (16)
003. IMF 사태를 어떻게 볼 것인가? (24)
004. 신자유주의냐, 제3의 길이냐? (37)
005. 한국 지식인의 재활성화 (51)
006. 김영삼 개역 어떻게 실패했나? (60)
007. YS정권의 실패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64)
008. 한국사회는 개혁을 이루어낼 수 있나? (71)
009. 정치사회의 개혁에 관하여 (77)
010. [시민사회의 개혁] (85)
011. 제2의 건국운동, 어떻게 보아야 하나? (85)
012. 한국에서의 사회적 협약의 문제 (91)
013. [분단체제와 대북정책에 관하여] (137)
014. 분단체제와 분단사회의 형성 (137)
015. 한반도 평화정착과 재통일에 남북한 사회문화교류가.... (140)
016. 대북포용정책과 사회문화교류 (143)
017. 대북한 교류와 협력, 인도적 지원 방향 (149)
018. 햇볕정책을 어떻게 볼 것인가? (160)
019.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민주주의, 연대운동 (164)
020. [한국의 정치와 사회에 관한 단상] (185)
021. 5.18 운동에 대한 국가와 시민사회의 대응 (185)
022. 한국정치의 현주소와 '우리'진영의 과제 (194)
023. 정치개혁과 인적 청산 (204)
024. 지역주의의 극복을 위하여 (209)
025. 학문/사상의 자유와 '최장집 교수 사태' (211)
026. 노조운동과 노동자 정당 (217)
027.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 (221)
028. 새로운 사회모형을 위한 정치적, 서회적 연대의 모색 (223)
029. 한국의 새로운 정치, 서회모형에 관하여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