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석,박사 첫 논문 도전하기 : 논문 빨리쓰기 전략서
필자는 직장인 석박사 과정을 거치면서 논문쓰기라는 쉽지 않은 장애물을 넘었다. 논문의 구성과 표현에 쉽사리 익숙해지지 않아 당황스러웠고, 직장에서 익숙하던 보고서 어투에서 벗어나지 못해 논문쓰기로 꽤 고생했다.
풀타임 석박사 과정이라면 단계별로 시간을 투자하면서 논문 쓰기에 익숙해지도록 순차적으로 훈련했을 것이다. 하지만 평일에 직장생활에 매이다가 평일 밤, 혹은 주말에 시간을 내서 논문쓰기 준비를 하다 보면 페이지는 넘어가지 않고 멍하니 논문을 쳐다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논문을 읽으려고 하면 한 장, 두 장째 졸음이 와서 참기 힘들 것이다. 특히 읽어야 할 논문이 해외 논문이면 읽기 전부터 암담해질 것이다.
‘언제 이 논문들을 읽고 논문 쓸 준비를 할 수 있을까?’ ‘이러다 논문 쓰기를 시작할 엄두도 못 내고 수료로 끝날 것인가?’ 필자는 이러한 시간을 보내면서, 직장인의 상황에 적합한 ‘맞춤형 논문쓰기’ 책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였다. 왜냐하면, 기존의 많은 교수님이 풀타임 석박사 과정자에 익숙한 지도방침을 가지고 접근한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는 아주 당연한 절차이다. 차근차근 벽돌을 쌓아서 연구자로서 적절한 능력을 갖추기를 바라는 교수님들의 제자 사랑이라는 것을 충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필자는 직장인 석박사 과정자의 당사자로서 조금은 다른 생각을 가졌다. 사람은 누구나 본인의 환경에 맞는 전략을 필요로 하고 만들어 간다. 차근차근, 하나하나 공부하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직장인들은 이미 직장에서 많은 경험과 실력을 쌓은 사람들이다. 다만 논문에 익숙하지 않을 뿐이다. 직장이라는 환경을 십 분의 일이라도 활용해서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전략을 가지고 논문에 접근해야 한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힘들게 수료까지 나아갔는데 논문 앞에서 무너지는 것은 허무하다.
이 책은 논문 앞에서 허물어지지 않고 독자들이 직장인 석박사로서 가장 좋은 전략을 갖고 논문쓰기 과정을 즐기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 책은 모두 세 편의 시리즈로 편성되어 있다.
첫 번째 책은 논문 빨리 쓰기 전략서이다. ‘어떻게 논문을 시작할 것인가?’ ‘어떻게 빨리 주제를 잡을 것인가?’ ‘어떻게 계획을 세우고, 자료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인가?’ ‘어떻게 해야 논문답게 글을 쓸 수 있을 것인가?’라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직장인 석박사 과정자들이 이를 통해서 논문을 빨리 쓸 수 있는 본인만의 전략을 익히고 실행하길 바란다.
두 번째 책은 논문을 쓰기 위해서 먼저 이해야 할 논문의 기본에 대한 내용이다. 이 책은 복잡하고 세세하게 설명된 기존의 논문쓰기에서 벗어나 한눈에 논문구성을 쉽게 파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논문 계획부터 투고, 게재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담고 있어서 논문 전체 구성을 이해하고 논문을 쉽게 쓸 수 있도록 시작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세 번째 책은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논문 사례들로 구성되어 있다. 독자들이 막상 논문을 쓰려면 어떻게 시작하고 수정해야 하는지 갈피를 못 잡을 수 있다. 참고할 수 있는 사례들이 있었으면 하고 바랄 것이다. 이 책은 논문 사례들을 가지고 어떻게 논문에 적용할 것인가 하는 내용으로 정리되어 있다. 독자들은 실제 사례들을 통해서 자신의 글과 비교하면서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책은 세 권의 시리즈 중 첫 번째로 "논문 빨리쓰기 전략서" 편이다. 필자 주변의 직장인 석박사 과정자들이 논문의 방향을 잘못 잡아서 고생만 하다가 논문 쓰는 것을 포기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안타까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을 논문쓰기 전략 포인트로 정리하였고, 직장인 석박사 과정자들의 논문을 지도하였다. 지도를 받은 많은 분이 전략적으로 집중하자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논문 게재되는 사례들이 점차 많아졌다.
이 책은 짧고 쉽게 쓰였다. 독자들이 그냥 읽기만 해서는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반복적으로 읽어 보고 본인의 자세와 방향을 수정하고, 집중력 있게 실행한다면 논문 쓰기가 생각했던 것보다 힘들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저자 : 엄재근
엄 재 근(경영학박사)
지은이는 20여 년간 직장생활을 하면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는 직장인의 마음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직장인 석박사 과정자들을 위해서 개인 논문 코칭을 시작하였고, 쉽고 빨리 쓸 수 있는 논문을 위하여 논문 쓰기 강의를 하고 있다.
이메일 : 01027154370@naver.com
[경력]
現)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겸임교수(연구랩 지도, 재무회계 등)
現) 비즈니스플랫폼 연구소장
現) (사)공공협력원 학술위원장
現) 한국사회적질학회 부회장
Donaldson Korea 재무이사
Toshiba Korea 재무회계 그룹장
[전문분야]
Finance for Sales & Strategy
Corporate Finance
International Management
Complexity Science in Business Area
[기업체 강의 경력]
성공하는 리더들이 알아야 할 원가전략 (삼천리그룹 MBA 등)
가치제안의 재무적 접근방법 (유한킴벌리 등)
영업계획 재무적으로 접근하라 (대한상공회의소 등)
재무회계 쓱 보고 이해하기 (대/중소기업 다수)
반부패경영시스템의 재무분야 (ISO37001 심사원 등)
[저서 및 연구실적]
『The strategy of FX Risk management in International Trade 』, 2015.
『초보연구자를 위한 논문쓰기가이드』, 2016.
『Finance Dynamics』, 2017. 영문판, e-book 아마존 판매 中
“A System Dynamics Simulation on KIKO Derivatives and its Implications from International Trade”
“Platform Strategy of Eland China for the Business Ecosystem in Emerging market”
“Analysis on Earnings Management through Big Bath in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외 다수
들어가는 글
1장 직장인에게 논문이란?
1. 가장 효율적으로 진루하는 것에 집중하자
2장 논문을 빨리 쓰기 위한 전략
1. 첫 논문에 대작을 쓴다는 생각을 버리자
2. 쓰고 싶은 논문보다 게재될 수 있는 논문을 쓰자
3. 잘 알고 있는 분야를 논문으로 쓰자
3장 논문에 쉽게 접근하기 위한 Paper Sketch
1. 일단, 낙서하듯 써보자
4장 논문의 연구 주제를 쉽게 생각하기 위한 요령
1. Search and Combine
5장 논문을 쓰기 위한 작문 연습
1. 기존 논문을 따라 써보자
2. 써본 논문을 되풀이해서 고쳐보자
3. 논문 유사도 검사를 해보자
6장 연구 방법 쉽게 찾기
1. 선행연구 연구방법을 찾아 적용해보자
2. 주변의 고수를 찾아 조언을 요청하자
3. 연구방법을 선택하기 전에 적절한 자료 수집이 가능한지 고민하자
7장 논문의 구성에 편하게 접근하기 위한 요령
1. 처음부터 논문 전체를 구성하려 하지 말자
2. 생각나는 부분부터 채워 나가자
8장 논문의 설계도를 그려보자
1. 연구 계획서는 집을 짓는 설계도와 같다
2. 하루에 10분씩 연구계획서를 점검하자
9장 계획에서 게재까지 단숨에 보기
1. 연구 계획
2. 논문 쓰기
3. 투고 학술지 찾기
4. 투고 양식
5. 투고 요건
6. 투고 시기
7. 투고 방식
8. 심사 결과
9. 게재 확정
10. 출판 전 교정
11. 학술지 등재
지은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