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와 정조 이후
오늘날 정조는 개혁과 리더십을 상징하는 인기 높은 아이콘이 되었고, 학계와 대중문화계를 막론하고 ‘정조 열풍’ 혹은 ‘정조 미화’가 유행하고 있다. 그러나 과연 정조 시대는 오로지 빛나는 순수와 영광의 시공간이었고, 그 이후의 19세기 조선이 겪게 된 좌절과 한계의 경험은 진정으로 정조와 완전히 무관한 것일까? 『정조와 정조 이후』는 그러한 도식적인 시대 구분과 평가 기준의 이분법으로는 정조 시대 자체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19세기의 역사상도 온전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반성으로부터 시작된 기획이다.
서장 다시 보는 정조와 19세기 / 이경구
1부 정조 시대의 다학문적 접근
1장 조선 후기 정치의 맥락에서 탕평 군주 정조 읽기 / 최성환
2장 정조의 자연·만물관과 공존의 정치 / 박경남
3장 천문학사의 관점에서 정조 시대 다시 보기 / 전용훈
2부 정조와 세도정치
4장 19세기의 부세 운영과 ‘향중공론’의 대두 / 송양섭
5장 19세기에 드리운 정조의 잔영과 그에 대한 기억 / 노대환
6장 오늘날의 역사학, 정조 연간 탕평정치, 그리고 19세기 세도정치의 삼각 대화 / 오수창
3부 세도정치기의 이질적 시공간
7장 18~19세기 서울과 지방의 격차와 지식인의 인식 / 이경구
8장 19세기 조선의 지식인 지형?균열과 가능성 / 조성산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엮음)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