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왕들은 어떻게 병을 고쳤을까
조선시대 왕들의 건강장수 비법을 담아 설명한『조선시대 왕들은 어떻게 병을 고쳤을까』. 이 책은 한의사인 저자가 MBC 라디오 <아침풍경>에 옛날옛적에라는 코너에서 궁중 건강을 주제로 방송하던 내용을 엮은 것이다.
《조선시대 왕들은 어떻게 병을 고쳤을까》에서는 조선시대 왕들의 건강장수법과 질환에 따른 치료법에서부터 멀리는 중국 황제들의 건강법에 이르기까지 궁중에서 내려오는 건강비책들을 다양한 에피소드와 함께 흥미롭게 풀어낸다.
정지천(鄭智天)
1985년에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부속한방병원에서 전공의 과정을 거쳐 한방내과전문의가 되었으며 1991년 동대학원에서 한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1년부터 동국대 한의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 동국한방병원 병원장과 강남한방병원 병원장을 역임하였다. 2004년부터 대한한방내과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연구 논문으로 ‘이정환(二精丸)이 노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고지방식이 흰쥐의 비만에 미치는 삼정환(三精丸)의 영향’, ‘이지환(二至丸)의 고혈당 조절작용 및 기전에 관한 연구’ 등 당뇨병, 노인병, 남성병, 신장 질환, 항노화 등에 관한 100여 편을 국내외에 발표하였다.
저서로는《신장이 강해야 성인병을 예방한다》(2000년, 도서출판 청송)《우리집 음식 동의보감》(2001년, 중앙생활사) 《어혈과 사혈요법》(2002년, 가림출판사) 등이 있다.
추천의 글
머리말
1장 왕실의 질병과 건강보조법
* 왕들의 직업병 1위는 종기
* 세종대왕이 임질(淋疾)로 고생했다니
* 탈영실정(脫營失精)과 흥국영, 연산군
* 인현왕후의 폐결핵
* 실녀병은 독수공방하는 궁녀들의 직업병
* 왕의 대변은 왜 따로 처리했나
* 왕실의 온천욕
* 궁중 여인들의 쑥 목욕법
* 왕실의 유모 선택법
* 원자의 친구, 배동(陪童)은 왜 필요한가
* 간택을 거쳤지만 불임 왕비가 많았다
* 왕의 불임
2부 음식으로 보는 궁중건강법
* 왕들의 보양식은 검은색 음식
* 왕이 마시는 물, 백비탕
* 소심과 지장수, 납설수
* 왕세자의 두뇌 보양식
* 궁중 최고의 태교음식, 붕어와 잉어
* 정조 임금과 담배
* 도루묵과 조기
* 왕들은 술을 얼마나 마셨을까
* 왕실의 건강요리에 필수적인 표고버섯
* 탕평채(蕩平菜)를 아십니까
* 아무나 먹을 수 없었던 우유, 타락죽
* 왕은 겨울에도 상추쌈을 먹었을까
* 고종 임금과 커피
3부 왕실의 건강을 챙기기 위한 약, 비방
* 더위를 물리치는 비방, 제호탕
* 비위장을 돕는 처방, 청궁팔선고
* 미수 선생의 약방문과 유의(儒醫)
* 사약(賜藥)은 무엇으로 만들었으며, 마시면 금방 죽을까
* 이슬로 무슨 병을 고쳤나
* 왕실의 여름철 음료, 구선왕도고와 생맥산
* 수양제의 불치병을 그림과 얼음으로 치료한 방법
* 원나라의 대장금, 홀사혜의 양신구채죽
* 당나라 여황제 무측천의 미용 비방
* 청나라 서태후의 탈모 방지법
* 거머리에 물리게 하는 치료법
* 똥, 오줌도 약으로 쓰였다
* 궁중 최고의 영약(靈藥), 산삼(山蔘)
* 연산군의 정력제, 최음제
4부 왕들의 죽음과 장수
* 철종 임금의 요절은 주색과도 탓
* 영조 임금의 장수 비결
* 아들의 병을 고치려고 물벼락 맞았다가 죽은 명성왕후
* 청나라 건륭황제의 장수비결
* 20대에 요절한 임금의 사망 원인
* 청나라 서태후의 장수 비결
* 명종, 인종의 요절 원인
* 경종의 요절과 게장, 생감 및 인삼부자탕
* 선조의 죽음과 약밥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