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생태학
지식생태학은 이처럼 생태학적 문제의식으로 당시의 지식경영 담론이 펼치고 있는 한계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대안을 모색하는 가운데 탄생한 학문적 결과물이다. 『지식생태학』은 2006년에 썼던〈지식생태학〉의 단순한 개정 증보판이 아니다. 당시에 가졌던 문제의식은 지식이 ‘경영’ 또는 ‘관리’와 만나지 말았어야 될 ‘잘못된 만남’이라는 데서 출발했다. 지식은 끈적끈적하고(sticky), 불가시적이며(intangible), 철저한 관리를 해도 외부로 샐 수밖에 없는 것인데, 이걸 다양한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려는 불필요한 노력이 전개되면서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한다는 것이었다. 지식은 본래 지식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과 분리시켜서 생각할 수 없다. 지식은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의 몸에 체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람의 몸에 체화된 지식은 시스템적으로 관리할 수 없다. 지식은 일본의 경영학자 Nonaka 교수의 말대로 관리 대상이 아니라 창조의 대상이다.
지식생태학자,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수
미국 Florida State University 교육공학 박사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석사
주요 관심사: 지식생태학, HRD(Human Relationship Development),
소통과 공감, 상상과 창조, 변화와 혁신을 통한 개인과 삶의 변화
지성 없는 야성은 야만이고, 야성 없는 이성은 지루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재미없는 의미는 견딜 수 없는 답답함이고,
의미 없는 재미는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이라고 거침없이 주장하는 사람,
체험 없는 개념은 관념이고, 관념 없는 체험은 위험하다고 선동하며
생태학적 상상력으로 사람과 세상을 변화시키고
자기다운 지식을 창조하고 공유하는 지식생태계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나무는 나무라지 않는다, 2017?, ?곡선으로 승부하라, 2016?, ?공부는 망치다, 2016?, ?나는 배웠다. 그리고 아직도 배우고있다, 2015?, ?브리꼴레르, 2013?, ?니체는 나체다, 2012?, ?체인지(體仁知), 2012?, ?생각지도 못한 생각지도, 2011?, ?용기, 2007?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나무를 심은 사람, 2017?, ?하던 대로나 잘 하라고?: 미어캣에게 배우는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기술, 2017?, ?에너지 버스, 2007?, ?빙산이 녹고 있다고?: 펭귄에게 배우는 변화의 기술, 2006?, ?핑!: 열망하고 움켜잡고 유영하라, 2006? 등 지금까지 80여권의 저서와 역서를 출간하고 있다.
1부 지식생태학의 문제의식과 등장배경(WHY)
1장___생태학적 문제의식의 출발과 생태론적 패러다임의 전환 5
1. 자연환경의 위기와 생태학적 문제의식 5
2. 생존위기의 원인, 이분법적 분리주의 8
3. 기계론적 패러다임에서 생태론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10
2장___생태학적 관점의 다양성과 지식생태학과의 관계 13
1. 심층생태학 14
2. 사회생태학 28
3. 심층생태학ㆍ사회생태학 논쟁을 통한 시사점 34
3장___지식생태학의 문제의식과 학문적 의도 39
1. 학습에 대한 기계론적 접근과 학습개념의 오염 42
2. 효율중심 학습의 한계 44
3. 효과성을 추구하는 지식생태학 47
2부 지식생태학의 학문적 위상(WHAT)
1장___지식생태학이란 65
2장___생태계의 특성 69
1. 상호의존성의 원리 71
2. 자기조직화의 원리 72
3장___지식생태학의 연구영역과 주요 원리 76
1. ‘즐거운’ 학습을 촉진시키는 자기조직적 갱생 원리:
지식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제조건 77
2. ‘건강한’ 지식을 창조하는 창발적 관계성의 원리:
지식생태계의 성장조건과 건강성 판단기준 80
3. ‘보람찬’ 성과를 나누는 호혜적 공감의 원리:
지식생태계의 가치창출 수준 및 정도 판단 기준 84
4. ‘행복한’ 일터를 가꾸는 상호의존적 깨우침의 원리:
지식생태계의 궁극적 존재이유이자 이상적인 방향성 87
4장___지식생태학의 학습관 91
1. 지식생태학적 학습의 5가지 조건 91
2. 지식생태학의 5대 학습관 97
5장___지식생태학의 지식관 102
1. 지식생태학적 지식의 조건 104
2. 지식생태학적 지식관과 관계되는 학자와 이론 110
3. 지식생태학의 5대 지식관 118
6장___지식생태계의 구성요소 123
3부 지식생태학의 실천(HOW)
1장___지식생태계 디자인 141
1. 세 가지 다른 디자이너와 디자인 유형 141
2. 생태학적 디자인의 문제의식과 기본 가정 143
3. 지속가능한 지식생태계를 디자인하는 4대 원리 147
2장___지속가능한 지식생태계의 조건 157
1. 지행합일(知行合一) 162
2. 일관성 162
3. 약속 163
4. 겸손 164
5. 투명성 165
6. 공정성 165
3장___지식생태계 생명력 강화방안 168
1. 외부 지식생태계와의 개방적 네트워크 구축: 170
지식생태계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전제 조건 170
2. 우발적 마주침을 촉진하는 새로운 시도의 추구: 173
지식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주도하는 주체의 결단 173
3. 호혜적 공감대 조성을 통한 사회적 신뢰 형성: 174
지식생태계의 활력 에너지 흐름의 기반이자 토대 174
4. 창발적 깨우침을 지원하는 지식공유 문화와 마당 조성: 176
즐거운 학습과 건강한 지식 창조를 위한 토양 마련 176
5. 지식창조와 적용과정을 정착시키는 제도와 시스템 마련: 178
지식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촉진하는 인프라 구축 178
4장___지식생태계로서의 이상적인 조직의 모습 181
1. 지식생태학적 학습관에 비추어 본 지식생태계 수준 진단 182
2. 지식생태학적 지식관에 비추어 본 지식생태계 수준 진단 184
3. 지식생태학의 주요 원리에 비추어 본 지식생태계 수준 진단 185
4. 지식생태계 생명력 강화 방안에 비추어 본 지식생태계 수준 진단 187
5. 지식생태계와 지식사태계가 만들어내는 지식 189
4부 지식생태학의 미래(WHERE)
1장___생태학적 상상력과 전문가의 미래 209
1. 4차 산업혁명과 생태학적 상상력 209
2. 전문가의 위기와 생태학적 상상력의 필요성 211
3. 직장인이 근무하는 조직과 장인이 근무하는 지식생태계 214
4. 지식생태계 리더십의 본질: 멀티플라이어와 디미니셔 리더십의 차이 218
5. 4차 산업혁명과 미래의 전문가, 사이 전문가 222
6.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전문가의 네 가지 전문성 224
2장___지식생태학의 가능성과 전망 227
1. 지식생태학의 실천분야 탐색: ① 시민교육생태계 232
2. 지식생태학의 실천분야 탐색: ② 학교교육생태계 234
3. 지식생태학의 실천분야 탐색: ③ 생태학적 HRD 235
4. 지식생태학의 실천분야 탐색: ④ 지식생태학과 교육공학 237
에필로그 251
참고문헌 258
찾아보기 270
유영만 외 9인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