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맛 좀 볼래!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이 꼭 읽어야 할 너, 맛 좀 볼래!
갈피를 못 잡고 있는 대한민국 교육, 그 해답이 되어 줄만한 책
저자 윤병훈은 특성화대안학교인 양업고등학교 교장이며, 서품 받은 지 25주년이 된 가톨릭 신부이다.
그는 사람들이 자신을 ‘생명지기’라고 일컬어주기 바란다. 학생들과 꽃, 나무뿐만이 아니라, 모든 생명 있는 것들을 지극한 사랑으로 가꾸며 길러내는 것이 자신의 몫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는 공교육이 포기한 문제아들을 품어 안고 키우겠다며 일반학교 교사 자리를 박차고 나와 ‘양업고등학교’를 세운 후, 10년 동안 참으로 괄목할만한 교육성과를 이루어놓았다.
그가 중하게 생각하는 인성교육이 얼마나 놀라운 결과를 낳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양업고등학교에 한 번 직접 가서 그 학교 학생들을 한 번 만나보기 바란다.
대안학교 ‘양업고등학교’ 그 희망을 말한다
1998년 천주교 사제 윤병훈 신부님은 일선 학교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탈락한 학생들을 위해 대안학교인 ‘양업고등학교’를 세웠다. 그리고 그 학생들과 좌충우돌하며 함께 성장했다. 신부님은 양업고등학교에서 많은 학생들을 새로운 생명으로 탄생시키는 데 성공했고 그 10년의 생명 발자취를 이 책에 담았다.
신부님은 아이들과 함께 살며 아이들의 반항이 이유 없는 반항이 아니었음을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아이들이 왜 그런 반란을 일으킬 수밖에 없었는지, 반항이라는 거친 모습 그 너머에 있는 학생들의 여린 눈물과 슬픔이 무엇인지를 보며, 문제점의 근원이 어디 있는지 직시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제 그들의 대변자가 되어 《너, 맛 좀 볼래!》라는 다소 도전적인 제목의 책을 세상에 ?뺙邨年? 신부님은 이 책을 통해 스스로 학생들 편에 서서 반란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파헤치며 그 부조화 속에서 신음하며 방황하고 반항하는 청소년들이 결국 어른들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물이요, 희생물임을 담담하게 지적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며 이 땅의 청소년들을 이끌어 주어야 할 저자 자신을 포함한 모든 어른들의 자성적인 고백서요, 아이들에게 용서를 구하는 일종의 참회서라고 해야 할 것이다.
신부님은 이 책에서 어른들이 아이들을 위해 마땅히 해야 할 역할과 책임을 물으며, 그 길을 함께 찾아보자고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자신이 세운 대안학교에서의 10년 경험을 토대로 진솔하게 그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대안학교라는 교육 실험 현장의 생생한 체험이 담긴 이 한 권의 책이, 이 땅에 자녀를 둔 부모님들뿐만이 아니라 청소년을 가르치는 교육 현장의 모든 분들을 위한 확실한 지침서 역할을 하리라 믿는다.
이제 곧 방학이 시작된다. 자녀들에게만 공부하라 하지 말고, 여름 휴가 기간 동안 학부모와 교사들부터 이 책을 꼭 읽기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책을 펴내며 _ 4
‘너, 맛 좀 볼래’ 출간을 축하하며 _ 6
발칙한 아이들과 함께 한 아름다운 양업 9년 _ 8
1부 물이 포도주로 변하는 과정
갈등, 그리고 문제 해결 _ 26
수렴청정垂簾聽政형 어머니 _ 29
‘함께 하는 것’이 교육이다 _ 32
새로운 체험 _ 35
인간교육이 중요한데 _ 38
헤어지기 전에 해야할 일 _ 41
또 떠난다 _ 44
읽고 쓰고 셈하기 _ 47
교육이라는 것 _ 50
물이 포도주로 변하는 과정 _ 53
대안代案이 무엇인가 _ 56
이번 일만은 제가! _ 59
이건 아니다 _ 62
지식을 얻는 방법 _ 65
대학 진학률 100% _ 68
안주가 더 무섭다 _ 71
사람 좀 만납시다 _ 74
아버지가 달라져야 _ 77
스스로 목표를 찾아가는 아이들 _ 80
내 아들만은 _ 83
희망이 있는 교육을 하자 _ 86
오월 예찬 _ 89
2부 아직도 자고 있느냐
자유와 책임 _ 92
찌꺼기 걷어내기 _ 95
생명 가꾸기 대토론회 _ 98
아직도 자고 있느냐 _ 101
지리산 종주 _ 104
엉킨 낚싯줄 풀 듯이 _ 107
안 그랬어요 _ 110
빠떼루par la terre를 주고 싶다 _ 113
40이 불혹인데四十而不惑 _ 116
대안학교가 좋다 _ 119
갈등 _ 122
지나친 자녀 사랑 _ 125
데이트 메이트 _ 128
금연 선포식과 ‘그린 존’ _ 131
3부 도전하는 자가 아름답다
아이들이 시동을 걸었다. _ 136
문제는 풀라고 있는 것이다 _ 139
부모의 그릇 _ 141
도전하는 자가 아름답다 _ 144
박스 속에 갇혀있던 아이들 _ 147
내가 버리지 못한 것 _ 149
쌍둥이 남매 _ 152
코드가 맞아야 _ 155
아무것도 없어요 _ 158
숙제가 뭐야? _ 161
고층 아파트 _ 164
나라가 망한다고? _ 167
틀 속에 가두어 달라는 부모 _ 170
깡통 소리에 대한 단상 _ 173
공해지역 금연운동 _ 177
예, 저희는 건전합니다 _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