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이 영원할 것처럼
<B>데뷔 후 17년, 다시 처음의 마음으로</br>서유미 네번째 소설집</b></br></br> 어떤 슬픔이 닥쳐도 계속해서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모습에서 진정한 낙관을 발견하는 작가 서유미의 네번째 소설집 『밤이 영원할 것처럼』이 출간되었다. 서유미는 2007년 등단한 이래 일곱 권의 장편소설, 세 권의 소설집 등의 단행본을 펴냈다. 작가의 데뷔 무대는 눈부셨다. 한 해에 문학수첩작가상과 창비장편소설상을 동시 석권한 그는 “살아 있는 언어와 정교한 세부에서 얻어진” “인간군상의 점묘화”(소설가 성석제) 같은 소설로 “환멸의 일상을 유머러스하고 따뜻하게 비추는”(소설가 강영숙) 미덕을 보여주며 주목받았다.</br></br> 그후로 “그곳에 상처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붙이는” “밴드 같은 소설”(소설가 이승우), “손가락 사이로 흘러가고 마는 무력하고 무용한 하루하루를” “돌아봐주는 소설”(소설가 정세랑)들로 인간사의 애환을 보듬어온 서유미. 그가 2022년부터 만 2년 동안 발표한 단편소설 7편을 『밤이 영원할 것처럼』에 한데 모았다. 그런데 작가는 이번 소설집을 펴내며 “이 책으로부터 다시 시작하고 싶다”(서유미, ‘작가의 말’)고 말한다. 데뷔 후 17년간 동료 작가들의 탄탄한 지지를 받으며 활동해온 그가, 다시 한번 첫 소설집을 출간하는 것만 같은 설렘과 각오로 이 책에 임한 이유는 무엇일까.</br></br> 무엇보다도 서유미 소설이 이전과는 달라졌으며 계속해서 정점을 경신중이기 때문일 것이다. 데뷔 직후 장편소설로 주목받으면서 서유미는 발랄한 유머 감각과 필력을 지녀 공감도 높은 세태소설에 능한 소설가로 첫인상을 남겼다. 하지만 2023년, 단편 「토요일 아침의 로건」이 김승옥문학상 우수상을 수상하면서 서유미의 단편소설에 밴 연륜과 깊이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오차 없이 섬세하게 쌓여나가는 감정선 덕택에 이제는 서유미의 어떤 단편을 읽든 반드시 한 번은 울컥하게 되는 것이다. 작가 자신이 의도한 지점으로 독자를 정확히 이끌고 가서 감정을 폭발적으로 분출시키는 것이 좋은 단편소설의 한 요건이라면, 『밤이 영원할 것처럼』에는 서유미 단편의 백미가 담겨 있다.
1975년 서울에서 태어났고 단국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그녀는 백화점으로 대표되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화려한 올가미에 얽혀 자유롭지 못한 인간들을 이야기한 『판타스틱 개미지옥』으로 2007년 제5회 문학수첩작가상을, 서른 살을 지나서도 여전히 철들지 못하고 무엇 하나 정해진 바 없이 방황해야만 하는 서른셋 여자의 일상을 그린 『쿨하게 한걸음』으로 2007년 제1회 창비장편소설상을 수상하였다. 소설집 『당분간 인간』, 『모두가 헤어지는 하루』, 장편소설 『판타스틱 개미지옥』, 『쿨하게 한걸음』, 『당신의 몬스터』, 『끝의 시작』, 『틈』, 『홀딩, 턴』을 썼다.
2007년부터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이 세상에서 나 하나 건사하며 사는 것도 힘들다고 생각했는데, 결혼도 하고 늦은 나이에 아이도 낳았다. 가끔 아이를 보고 있으면 내가 이 세계와 인간에 대해 어떤 이야기, 문장을 보탠다는 것이 의미가 있나 싶은 생각이 든다. 아름다운 것, 완전한 것, 의미가 깊은 것들은 이미 어떤 상태로 완성되어 있는 것 같다. 나는 다만 그 부스러기, 그림자에 대해 적어보려 이렇게 저렇게 애쓸 뿐이다.
토요일 아침의 로건 _007</br>밤의 벤치 _035</br>그것으로 충분한 밤 _065</br>지나가는 사람 _093</br>다른 미래 _127</br>기다리는 동안 _159</br>밤이 영원할 것처럼 _185</br></br>해설 소유정(문학평론가)</br>기다림으로 남은 밤 _221</br></br>작가의 말 _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