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진보(古文眞寶)》는 중국의 전국(戰國)시대부터 송대(宋代)까지의 시문(詩文)을 송나라 황견(黃堅)이 전ㆍ후집으로 엮은 책이다. 전집에는 고시(古詩), 후집에는 고문(古文)이 주로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고문진보》 중에서 우리에게 가장 많이 알려지고 아름답게 느껴진다고 생각되는 시문만을 선별 번역하였다.
저자소개
목차
목차
(1) 권학문(勸學文)
1. 진종황제 / 학문을 권함 勸學
2. 인종황제 / 학문을 권함 勸學
3. 사마광 / 학문을 권하는 노래 勸學歌
4. 유영 / 학문을 권하는 글 勸學文
5. 왕안석 / 학문을 권하는 글 勸學文
6. 백거이 / 학문을 권하는 글 勸學文
7. 주희 / 학문을 권하는 글 勸學文
8. 한유 / 아들 ‘부’가 성남에서 독서하다 符讀書城南
(2) 오언고풍 단편(五言古風短篇)
9. 도연명 / 사계절 四時
10. 유종원 / 눈 덮인 강 江雪
11. 가도 / 도사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다 訪道者不遇
12. 이백 / 왕소군 王昭君
13. 조식 / 일곱 걸음 만에 지은 시 七步詩
14. 맹교 / 나그네 되어 읊다 遊子吟
15. 이백 / 친구와 하룻밤을 지내다 友人會宿
16. 도연명 / 전원으로 돌아가 살자 1 歸園田居
17. 이백 / 명필 왕희지 王右軍
18. 이백 / 장난삼아 정 율양에게 써주다 ?贈鄭?陽
19. 소식 / 유공권의 시에 이어 쓰다 足柳公權聯句
20. 황정견 / 소동파가 해남으로 귀양가다 子瞻謫海南
21. 도연명 / 잡시 1 雜詩
22. 도연명 / 잡시 2 雜詩
23. 무명씨 / 옛 시 古詩
24. 소식 / 푸른 대숲의 집 綠筠軒
25. 이백 / 달밤에 홀로 마시다 月下獨酌
26. 도연명 / 잡시 3 雜詩
27. 도연명 / 전원으로 돌아가 살자 2 歸田園居
28. 소과 / 쥐수염 붓 鼠鬚筆
29. 진사도 / 박복한 여자 妾薄命二首
30. 한유 / 가슴 속의 시름 幽懷
31. 이백 / 홀로 술을 마신다 獨酌
32. 도연명 / 자식을 꾸짖다 責子
(3) 오언장편(五言長篇)
33. 무명씨 / 옛 시 古詩
34. 도연명 / 옛 시를 모방하다 擬古
35. 두보 / 꿈에 본 이백 夢李白二首
36. 백거이 / 까마귀 밤에 울고 慈烏夜啼
37. 도연명 / 전원으로 돌아가 살자 3 歸田園居
38. 두보 / 여름에 이 공이 찾아오다 夏日李公見訪
39. 두보 / 석호촌의 포졸 石壕吏
40. 두보 / 아름다운 사람 佳人
41. 두보 / 이백에게 寄李白
(4) 칠언고풍 단편(七言古風短篇)
42. 이백 / 산에서 속인에게 답하다 山中答俗人
43. 이백 / 산에서 대작하다 山中對酌
44. 위야 / 은자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다 尋隱者不遇
45. 유종원 / 늙은 어부 漁翁
46. 이백 / 까마귀 밤에 울고 烏夜啼
47. 이백 / 이옹께 올림 上李邕
48. 황정견 / 수선화 水仙花
49. 최호 / 황학루에 올라 登黃鶴樓
50. 한유 / 정 병조에게 드림 贈鄭兵曹
51. 증공 / 우미인 풀 虞美人草
(5) 장단구(長短句)
52. 이백 / 술잔을 드리며 將進酒
53. 노동 / 임을 그리며 有所思
(6) 가류(歌類)
54. 한 고조 / 큰 바람의 노래 大風歌
55. 두보 / 취중의 여덟 신선의 노래 飮中八僊歌
56. 노동 / 차의 노래 茶歌
57. 한유 / 돌북의 노래 石鼓歌
58. 백거이 / 긴 한탄의 노래 長恨歌
59. 문천상 / 여섯 노래 六歌
(7) 행류(行類)
60. 두보 / 전차의 노래 兵車行
61. 이백 / 초서의 노래 草書歌行
62. 소식 / 미인의 노래 속편 續麗人行
(8) 곡류(曲類)
63. 왕안석 / 왕소군의 노래 1 明妃曲
64. 왕안석 / 왕소군의 노래 2 明妃曲
작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