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한국미술 100년 1
- 저자
- 김윤수 외 57인
- 출판사
- 한길사
- 출판일
- 2006-10-20
- 등록일
- 2009-04-14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69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우리 미술 100년의 역사를 정리한 <한국미술 100년> 1부. 2005년과 2006년 두 해에 걸쳐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전시에서 다룬 작품들을 중심으로 각 시기별 전문가가 우리 미술의 지난 100년을 조망한 책이다. 미술만이 아닌 광고, 사진, 영화, 건축, 만화 등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그 시대 우리 문화의 다방면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이 책은 지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우리 문화계의 모습을 담아 격동의 세월과 더불어 우리의 문화가 무엇을 고민하고 무엇을 성취했는가를 보여준다. 미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작품들을 비롯하여 다수의 미발표작, 그리고 다양한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또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당대 평론가들의 글들을 대거 수록하여 흥미를 더해준다.
저자소개
저자 소개
얼리어답터 최문규
사진 찍는 사람들의 눈에는 사진작가,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 눈에는 화가, 디자이너들 눈에는 그래픽디자이너, 웹마스터들 눈에는 웹마스터, 일반 회사원들 눈에는 기획자나 마케터로 보일 정도로, 각 분야에 걸쳐 전문지식을 두루 갖춘 최문규 씨는 세계 각국에 막강한 휴먼 네트워크를 구축, 최신 제품 및 최신 기술동향을 실시간으로 섭렵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 ‘얼리어답터(earlyadopter)’라는 말을 처음 들여온 이도 그이다. 새로운 제품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얼리어답터들의 커뮤니티를 위해 2001년 9월 얼리어답터 사이트(www.earlyadopter.co.kr)을 열어 국내 얼리어답터 문화를 선도하고 있는 한편, 웹이전시 이바닥(www.ebadaq.com)을 운영하고 있다.
얼리어답터 조현경
조현경 씨의 핸드백 속에는 언제나 스파이카메라(Che-ez SpyZ)와 디지털카메라가 들어 있다. 새로운 제품이나 별난 사람들을 만나면 습관적으로 셔터를 눌러대는 그이는 여성으로서는 보기 드물에 맹렬 얼리어답터이다. 전자물고기 무츠, 토이카메라, 비트챠지, 디지털카메라, 아이디어 장난감 등 수십 종의 얼리 제품들을 소장하고 있다. 현재 <심마니> 미디어팀 기자 및 테크니컬 라이터로 활동중이다.
목차
고난극복의 성과, 우리 미술 100년을 돌아보다/ 책을 펴내며ㆍ김윤수
참고문헌
한국미술사 연표(1876-1959)
주요인명 찾아보기
전사 | 근대를 향하여 1876-1905
근대를 향하여 - 임형택
신문물의 유입과 한국적 미의식의 혼재양상 - 박암종
외국인 선교사와 건축활동 - 남호현
서화의 확장과 미술의 출현 - 홍선표
청말 화보의 전래와 영향 - 최경현
서양화풍의 수용양상 - 이중희
근대의 거대한 뿌리 - 강관식
고종의 어사진 - 최인진
근대국가의 표상문화 - 목수현
근대 초기 공예 인식 - 최공호
관립 공업전습소와 이왕직미술품제작소 - 최공호
<그들이 본 한국 - 정준모
외국인의 조선방문기 발간 - 박수진
제1부 | 계몽과 항일사이 1905-1919
두 얼굴의 계몽주의, 을사년에서 기미년까지 - 최원식
근대적 미술 개념의 형성과 전개 - 윤세진
한국문학의 첫 얼굴 - 권보드래
20세기 초 음악계의 지형도 - 권도희
개화기의 연극 풍경 - 유민영
국권 상실 속의 새로운 미술 태동 - 이구열
학교 미술과 서화학교의 대두 - 홍선표
조선인교육기관일람 / 공립보통학교 학급생도
보통학교 수와 학생 수의 변화 / 고등보통학교 수와 학생 수의 변화
신구의 병존 - 근대 초 서예 사정 - 이동국
청자 재현 붐 - 엄승희
오원 장승업 기명절지화 양식의 계승 - 진준현
출판물을 통한 미술 및 시각문화 확산 - 박암종
1910년대의 미술 유학생들 - 강민기
홍릉 조각 - 조은정
제2부 | 신문화의 명암 1919-1937
3·1운동과 모던라이프- 황종연
근대문학의 발전과 특성 - 신수정
본격 신극운동의 시발 - 유민영
카프의 영화와 영화운동 약사 - 조준형
신무용시대, 창작춤의 출현 - 김채현
1930년대 모더니즘 문화와 건축 - 송석기
새로운 음악 양식의 출현과 근대 - 민경찬
식민지의 대중문화: 할리우드·재즈·그리고 유성기 - 유선영
근대미술 화단의 성립과 활동 - 김영나
일제하 조소예술의 역사적 전개와 특성 - 윤범모
모더니즘 미술과 동양주의 - 김현숙
아세아주의 미술론 - 심영섭
산수에서 풍경으로: 근대적 풍경화의 의미 - 서유리
동양화론 - 변영로
서화협회와 조선미술전람회 - 이중희
투쟁의 예술 - 기혜경
신흥미술과 그 표적 - 김복진
자수미술과 도쿄 여자미술전문학교 - 김철효
근대 시각매체 속의 기생 이미지 - 권행가
누드 그림, 모델의 역사 - 이규일
안석주와 만문만화 - 강수정
상업활동에 적극 기여하기 시작한 미술문화 - 박암종
노라의 후예들
신여자송·주요한 / 인형의 집·나혜석 / 신여성의 십계명·이광수
식민지 시기 교육령 변천에 따른 남녀학교의 전 학년 교과목 비교
제3부 | 모던에서 황민으로 1937-1945
황국 식민으로 거듭나기 - 황종연
일제강점기의 극영화 - 정종화
1937~45년, 전시체제하의 미술 - 김현숙
조선향토색 미술 - 김용준·윤희순
조선미술계의 당면 문제 - 윤희순
이왕가미술관의 일본근대미술품 전시 - 김승희
세련된 서구 모더니즘 문화 이식 및 확산 - 박암종
조선 고대미술의 특색과 그 전승 문제 - 고유섭
간송미술관과 전형필 - 정영호
일제의 침략전쟁에 협력한 미술가들 - 김용철
좌담회: 국방국가와 미술 - 화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아키야마 외 4인
제4부 | 광복과 분단 1945-1953
격동의 해방과 번혁, 분단과 전쟁의 아픔 - 서중석
조형예술의 역사성 - 윤희순
중견과 신진 - 박문원
미군정과 한국미술계 - 정무정
조지 돈데로의 국회록 - 찰스 해리슨&폴우드
해방공간 건축계의 재편과 이념 갈등 - 안창모
고난과 극복, 싹트는 발전의 징후 - 박암종
전후 춤계의 분화와 환경 구축 - 김채현
광복과 전쟁 시대의 미술 - 최열
외국의 시각에서 본 한국전쟁 - 정영목
한국전쟁과 기념 조각 - 김미정
6·25동란 - 김재원
한국전쟁 전후 월남한 미술가들
한국전쟁 전후 월북한 미술가들
조양규의 그림 - 하리우 이치로
광복과 분단, 한국전쟁의 영상 - 최인진
1950년대의 한국 근대건축 - 윤인석
혼돈과 모색의 시기, 1950년대의 한국영화 - 이효인
제5부 | 냉전의 그늘 1953-1960
전쟁의 폐허에서 새로운 변화가 - 서중석
전후 미국 대중문화의 유입 - 김창남
경제발전 요구와 환경 조성 및 기틀 완성 - 박암종
복구와 도약 - 오광수
전후 미술계의 재편성 - 최열
새교육의 틀 짜기: 미술 교육과 한국 전쟁 - 김형숙
한국 근대 미술과 큐비즘 - 최은주
이승만 동상 - 조은정
1950년대 한국미술의 해외 진출 - 김영나
전후 파리의 한인화가들(1954~60) - 김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