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한글 박물관 - 글누리의 모음

한글 박물관 - 글누리의 모음

저자
박창원
출판사
책문
출판일
2012-04-05
등록일
2012-11-14
파일포맷
COMIC
파일크기
55KB
공급사
우리전자책
지원기기
PC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3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세종이 남긴 최고의 선물, 우리글 훈민정음 이야기

요즘 ‘한글’이 대세다.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제2장에 나오는 ‘뿌리 깊은 나무’를 제목으로 한 드라마가 화제를 불러일으키면서 한글에 대한 전 세계 위대한 작가와 언어학자들의 찬사가 이어지고 있다. 《대지》의 작가 펄 벅 Pearl S. Buck 은 세종대왕을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라고 극찬하면서 한글을 가장 훌륭한 글자라고 인정했고, 세계적인 언어학자 로버트 램지 Robert Ramsey 도 한글을 ‘세계의 알파벳’이라고 확인해 주었다. 그런데 정작 평소에 숨을 쉬듯 편하게 쓰고 있는 한글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이 책은 바로 그런 의문과 갈증에서 출발해, 국어만 40년 가까이 연구해 온 국어학자 박창원 저자 이화여대 교수 가 우리글 ‘한글’의 핵심적인 내용들을 모아 알기 쉽게 정리한 책이다.
우리 민족은 세계 문자사에서 가장 발달한 문자 혹은 세계 문자사의 발달 단계를 한 단계 높인 문자를 가지고 있다. 이 문자는 ‘훈민정음 訓民正音, 한글 ’인데, 이것은 지금으로부터 560여 년 전 조선의 제4대 국왕인 세종대왕이 재위 25년부터 26년 사이 기원후 1443~1444년 에 완성한 것이다. 세종대왕은 이 문자를 만든 뒤 창제 배경과 제자 원리 등을 설명한 책을 신하들에게 명하여 만들게 하는데, 이 책의 이름 역시《훈민정음》이다. 문헌《훈민정음》은 문자 ‘훈민정음’을 설명한 책으로, 문자를 만든 과정이나 원리를 설명한 책은 지금까지 인류의 역사상 유일한 것이다. 이 책은 이런 놀라운 자산인 우리 한글을 살펴보는 과정을 총 4부 15장의 틀에 담아냈다. 이 길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가 책이나 드라마, 혹은 웹을 통해 접하기는 했지만 구체적으로 알지 못했던 향찰, 이두 등의 실체, 훈민정음 창제 과정과 원리, 거란이나 티벳 등 주변 민족들의 문자들까지 만나는 독특한 경험을 하게 된다.

글을 여는 부분인 제1부에서는 문자 이야기로 시작해 훈민정음의 창제 과정을 들여다보고 21세기 한국어의 위치까지 확인함으로써 이 책에서 다룰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정리했다.
제2부에서는, 훈민정음의 창제 배경과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4장 한자를 빌어 쓰던 문자 생활’에서는 당시의 문자 생활을 소개하면서 표기의 불완전으로 겪을 수밖에 없었던 불편한 문자 생활, 그리고 그런 상황에 대처했던 우리 조상의 지혜에 대해 언급했다.
‘제5장 동아시아 주변국가의 문자 생활’에서는 한반도와 역사적, 지리적으로 인접한 몽골 문자, 만주 문자, 거란문자, 여진 문자, 티베트 문자 등을 소개하고, 몽골 문자의 기원이 되는 소그드 문자, 위구르 문자 등을 소개했다.
‘제6장 중국 운학, 성리학의 습득’에서는 중국의 전통적인 성모 분류법을 소개하고,《성리대전》이 전래되어 조선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사실과 이것을 학습하기 위한 조선 관리의 노력에 대해 언급했다.
‘제7장 조음 위치와 조음 방식의 관찰’에서는 훈민정음 창제의 기반이 되는 조음 기관에 대해 언급했다. 즉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이 초성과 중성을 어떻게 관찰하고 파악했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제8장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문자 생활’에서는 한자의 전래와 이를 활용한 우리 조상들의 문자 생활을 초기의 차자 표기, 향찰문, 이두문, 구결문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제9장 세계 문자사와 한글’에서는 한글이야말로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임을 밝히고, 세계 문자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설명한 뒤, 그것을 그림 문자 및 단어 문자의 발달 과정을 중심으로 들여다보았다. 이어서 셈 문자, 특히 북셈 문자를 중심으로 음절 문자 및 자음 중심 문자의 발달에 대해 정리했다. 그러고 나서 음소 문자의 출현과 확산에 대해 설명한 뒤, 최종 단계로 우리 문자인 한글은 자질 문자라는 것을 설명하였다.
제3부에서는 훈민정음의 창제와 보급, 확산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제10장 훈민정음의 창제’에서는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의 업적과 창제 목적을 제시했다. 다시 말해, 세종은 국민이 문자생활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문자를 만들었는데, 이 장에서는 훈민정음 창제 과정의 신비와 제자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제11장 훈민정음의 예의’에서는《훈민정음》〈예의〉를 원문 그대로 수록했는데, 그 의미와 구체적인 해석까지 담아내어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제12장 훈민정음의 보급’에서는 훈민정음이 과거시험에서 시험과목으로 채택되었다가 폐지되는 과정을 추적했다. 또한 창제 후 출판된 다양한 서적들과, 중국에서 간행된 책들 가운데 우리말로 번역된 주목할 만한 책들을 운서, 경서, 유학서, 명문 등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이 장에서는 훈민정음이 한문과 외국어음을 습득하는 데도 널리 사용되었음을 밝혔고, 훈민정음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대표적인 인물들까지 소개했다.
‘제13장 한글 사용의 확산’에서는 훈민정음 창제 후 그 사용이 확산되는 모습을 정조와 백성이 공유하는 글, 시적 감각의 공유, 한글 소설의 등장, 일상생활과 한글, 음악과 한글, 삼강오륜과 한글, 여성 교육과 한글, 교훈서의 간행, 의학과 한글, 한글 전용 문헌들로 나누어 설명했다.
제4부는 한글이 국문 國文 , 국자 國字 의 위치를 확보하고 그 사용을 정비해 가는 과정과, 해방 후 다시 둘로 나뉜 용법에 대해 언급했다.
‘제14장 개혁의 출발’에서는 먼저 문체 혁신의 초석이 되고 그 확산의 기폭제가 되는 개화기 교과서와 신문의 간행에 대해 소개했다. 또한 한글 연구의 기반이 되는 전통 문법의 정립 과정과, 우리말과 우리글을 연구하기 위한 국가기관의 설립에 대해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이 시대 연구 방향의 특징을 토론과 논쟁의 풍토 조성, 실용과 이론의 조화, 국어·국문의 순화와 개혁으로 설명했다.
‘제15장 한글맞춤법의 변화’에서는 〈한글마춤법통일안〉 1933년 의 제정과 해방 후 남북의 언어 규범이 변화하는 과정을 추적했다.
세종이 우리 후손들에게 남겨 준 인류 역사상 최고의 선물을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사용해 왔는가 하는 문제는 참으로 흥미로운 문제다. 이 책이 한글을 사용하는 분들과 우리 문자를 이해하고자 하는 모든 독자들에게 조그마한 도움이 된다면 더없이 기쁘겠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