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생의 허들을 가뿐히 뛰어넘는 내면의 힘!” 회복탄력성에 대한 과학적이고도 체계적인 안내서
경제적 위기뿐만 아니라 가족의 죽음, 자연재해, 뜻밖의 역경까지. 지금,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2011년 3월 7일부터 10일까지 총4회에 걸쳐 방영된 KBS 의 ‘행복 커뮤니케이션’ 강의 반응이 뜨겁다. 시청자 게시판에 올라온 방청 후기에는 인생의 지침이 바뀌었다는 사람부터 감동으로 눈물을 흘린 학부모, 회복탄력성 테스트를 마치고 스스로 취약점을 고치겠다는 굳센 각오까지 그야말로 연령층과 성별에 상관없이 많은 이들이 공감을 얻고 도움이 되었다는 내용으로 가득하다. 의 ‘행복 커뮤니케이션’ 강의 주제와 내용은 사실 도서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과 같다. 이 책의 저자인 김주환 교수가 바로 강의를 진행한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행복 커뮤니케이션’에서 밝히고 있는 ‘회복탄력성’은 과연 무엇일까. 을 시청한 사람들은 회복탄력성이란 낯선 개념에 왜 이토록 뜨거운 반응을 보이는 것일까.
회복탄력성 resilience 이란 원래 제자리로 되돌아오는 힘을 일컫는 말로 ‘회복력’ 혹은 높이 되튀어 오르는 ‘탄력성’을 뜻한다. 그러나 심리학에서는 주로 시련이나 고난을 이겨내는 긍정적인 힘을 의미하는 말로 쓰인다. 회복탄력성은 긍정심리학에 누적된 많은 연구 주제 중에서 가장 시사성이 큰 개념 중 하나이다. 불행과 역경을 이기고 오뚝이처럼 다시 일어서게 하는 신비한 인간 내면의 힘이기 때문이다. 긍정심리학의 핵심은 그동안 심리학이 병적인 심리 상태를 치유하는 것에만 초점을 두었다는 반성에서 출발한다. 긍정심리학의 창시자로 불리우는 마틴 셀리그만 교수는 이제 정상적인 사람을 더욱더 고양시키고 발전시키는 것에도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동시에 긍정심리학을 제안하였다.
저자소개
현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된 연구 관심사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긍정적 정서의 효과, 대인관계와 커뮤니케이션, 소셜미디어, 리더십 등이다. 최근에는 신경과학과 뇌영상 기법(fMRI, EEG)을 이용한 소통지능향상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펜실베니아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탈리아 정부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볼로냐 대학에서 움베르토 에코 교수에게 기호학을 사사하였으며, 보스턴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부문에 당선되어 미술평론가로도 활동 중이다.
한국인지과학회 이사와 HCI 인문사회과학 학술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마음두뇌교육협의회 이사로 있다. KBS2 〈생방송 백인토론〉, EBS 〈생방송 토론카페〉 등의 TV 시사토론프로그램을 수년간 진행한 바 있고, 2011년 KBS 〈TV 특강〉을 통해 행복커뮤니케이션을 강의하였다. 2001년 한국 언론학회 신진교수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2010년에는 연세대 우수강의 교수로 선정되었다. 저서로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 쓰기≫,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 등이 있다.
목차
프롤로그
Part 1 마음의 근력 회복 탄력성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역경에 대처하는 사람들
회복탄력성을 발견하다
Part 2 나의 회복탄력성 지수는 얼마인가?
한국형 회복탄령성 지수의 개발
나의 회복탄력성 지수는?
회복탄력성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의 뇌는 어떻게 다른가?
어떻게 나의 뇌의 회복 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가?
Part 3 자기조절능력
자신을 이해하는 힘, 자기조절능력
긍정적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습관
참지 말고 즐겨라
일어나는 일들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라
Part 4 대인관계능력
함께할 수 있어 더 행복학 삶, 대인관계능력
상대의 호감을 끌어내는 대화 기술
공감의 원리를 이해하고 경청을 훈련하라
깊고 넓은 인간관계를 유지하라
Part 5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
긍정적 뇌로 변화시켜라
행복의 기본 수준을 높여야 한다
자신의 대표 강점을 발견하라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두 가지 습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