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일기
“저 스타벅스에서 일해요!”
번역가이자 작가 권남희가 세상을 만나는 공간 스타벅스,
사람들과의 느슨한 연결 속 쓰고 읽고 헤아린 계절들
무라카미 하루키·마스다 미리·오가와 이토 등의 번역으로 유명한 32년 차 ‘믿고 읽는 번역가’이자 ‘역자 후기의 장인’, 그리고 산문집 《혼자여서 좋은 직업》 등을 통해 ‘믿고 읽는 작가’로 사랑받고 있는 ‘한국의 마스다 미리’ 권남희. 그가 신간 《스타벅스 일기》로 독자들을 찾아왔다.
이 책은 작가가 딸을 독립시키고 인생 처음으로 ‘진짜 독립’을 시작한 뒤 찾았던 스타벅스에서의 소중하고 유쾌한 일상을 보여준다. ‘완벽하게 육아가 끝난 날’의 홀가분함도 잠시, 작가에게는 홀로 남은 집안에서 빈둥지증후군’으로 인해 ‘일할 의욕도, 식욕도, 살아갈 의미도 잃고 폐인처럼 우울하게 지내는 날들이 이어졌다. 그러던 어느 날 이렇게 살면 안 되겠다 싶어 노트북을 들고 집 근처 스타벅스를 찾아간다.
‘눈치 없이 젊은 사람들 사이에 껴서 일해도 되나?’ 바짝 쫄며 들어간 스타벅스. 내향인 중에서도 ‘대문자 I’로 불리는 극 내향형인 작가에게 그곳은 고작 1년에 한두 번 테이크아웃해본 게 전부였던 곳이다. 깔끔한 공간과 적당한 소음, 조밀하게 붙어 있는 테이블 사이에 앉아 글을 써보니, 집에서는 한 줄도 못 썼던 원고가 이상하게 술술 쓰이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스타벅스는 가는 곳마다 왜 그렇게 사람이 많은지 이해하지 못했는데, 딸 정하가 편한 집 놔두고 ‘스벅(스타벅스의 줄임말)’에 가서 공부하겠다고 하면 그리도 이해가 되지 않았는데, 그 순간 완벽하게 그 이유를 알게 됐다.
“스타벅스는 매장 직원이나 주변 손님을 신경 쓰지 않아도 돼서 자유롭고, 오픈된 장소여서 혼자 있는 방종을 막아주어 공부나 작업이 능률적이었다. 나는 나무늘보보다 움직임이 적은 인간이었는데, 스타벅스에 다니는 덕분에 매일 최소한 왕복 2킬로미터 이상 걷게 됐다. 일도 하고 운동도 하고 빈둥지증후군도 낫고 일석삼조. 나의 스타벅스 일기는 이렇게 해서 시작됐다.”(7쪽)
작가는 공간이 주는 독특한 힐링에 주목하며 특별한 것 없는 하루를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자신만의 ‘스타벅스 일기’를 완성했다. 그것은 브랜드의 유명세 때문도, 매장 인테리어 때문도, 독보적인 커피맛 때문도 아닌, 스벅을 찾아오는 다양한 연령대와 성별의 고객, 그리고 그곳을 삶의 터전으로 삼는 수많은 파트너(직원들) 덕에 가능했다. 작가는 날마다 그날 마실 음료를 정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해 다양한 시즌 한정음료에 얽힌 에피소드를 풀어내기도 하고, 옆자리 손님들의 대화나 옷차림, 자신과 짧게 스친 인연들을 붙잡아 때론 가벼운 웃음으로, 때론 삶에 관한 묵직한 사유로 담아낸다.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을 지나며 창밖에 보이는 풍경과 거리를 지나는 사람들의 변화를 만나는 재미도 쏠쏠하다.
“아이는 별의별 상처를 받고, 극복하며 어른이 된다. 지금 육아일기를 쓴다면 상처받지 않고 곱게 살기를 바라기보다, “어떤 상처도 이겨낼 수 있는 멘탈이 강한 아이로 자라게 해주세요”라고 기도할 것 같다. 옆자리 어린 친구도 실연의 아픔 툴툴 털어내고 혼자로 단단한 삶을 즐기기를. 실연한 사람에게 똥차 가고 벤츠 온다고 위로하지만, 그야말로 위로일 뿐. 벤츠 기다리지 말고 네가 벤츠가 돼버려.”(167쪽)
“이렇게 귀여운 50대 손님이 있나요?”
때론 코믹하고 때론 명치 때리는 에피소드로
일상의 소중함과 즐거움을 선사하는 ‘스벅’ 일기
사랑도 많고 사람도 좋아하는 작가는 ‘스타벅스’라는 공간을 만나, 자신의 주위를 슬며시 장악하며 주변 이들에게 따뜻함과 위로를 나눠준다. 때론 옆 테이블 아이에게 동화를 읽어주며 ‘스벅 베이비시터’를 자처하기도 하고, 당근마켓 게시판에서 이어폰을 잃어버린 사람의 호소를 보고 일면식 없는 사람의 물건을 찾아주러 매장 앞 버스 정류장으로 출동하기도 한다. 어느 날에는 가출한 딸을 찾아 스타벅스에 왔다가 무시만 당하고 돌아선 옆자리 중년 여성을 안타깝게 보다가 화장실에서 우연히 만난 뒤 두 손을 꼭 부여잡고 엄마로서의 동병상련을 나누기도 한다. 이처럼 “아줌마가 주책”이라며 부리는 ‘귀여운 오지랖’에 관한 에피소드를 읽다 보면 어느 샌가 마음이 몽글몽글해지며 작가의 포근한 관심을 받고 싶어진다.
작가는 이따금 시트콤보다도 더 코믹하고 명치를 때리는 글들로 독자들에게 소소한 웃음을 선사한다. 윤동주의 〈별 헤는 밤〉의 구절을 떠올리며 스타벅스 별 모으기(별 12개를 모으면 음료 1잔이 무료)에 진심인 마음을 표현하기도 하고, 당근마켓에서 기프티카드를 구입하려다 초등학생에게 사기당할 뻔한 뒤 딸에게 구박당한 이야기를 유쾌하게 풀어낸다. 매일 같은 시간에 자주 마주쳐 서로를 의식하게 된 ‘비닐봉지 할머니’를 보고는 할머니의 입장에서 자신의 모습을 묘사한 익살스러운 글을 써보기도 한다. 작가는 또한 우리가 누리는 스타벅스의 편안함을 책임지는 파트너들에 관한 이야기도 들려준다. 어느 날은 커피를 쏟아 당황한 학생을 대신해 파트너가 테이블과 바닥을 닦고 음료도 새로 만들어주었는데, 학생이 아무 대꾸도 하지 않는 것을 보고 안타까움을 드러낸다. ‘고맙습니다’ ‘미안합니다’라는 말이 습관이 되어 있으면 어떤 당황스러운 상황에서도 반사적으로 튀어나올 수 있다며 누구에게나 필요한 삶의 지혜를 전한다.
책은 1부 겨울을 시작으로 2부 봄, 3부 여름, 4부 가을까지 사계절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는데, 3부 딸과 함께한 여름휴가 편에서는 서울과는 다른, 부산·나고야 스타벅스의 특색 있는 음료와 공간을 자세히 소개하며 ‘스벅 마니아’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
“동갑 자식을 둔 동지로서 그의 손을 잡았다. 자기 길 찾을 때까지 지켜봐주시라고 했다. 안다. 남의 자식이니 이런 교과서식 위로가 가능하다. 내 자식이었으면 나도 애가 타겠지. 잘될 거라고 잡은 손을 어루만졌다. 눈물 그렁그렁한 눈으로 고맙다고 하셨다. 기쁨도 주고 아픔도 주고 보람도 주고 상처도 주는 것이 자식이지만, 부모도 자식한테 그런 존재 같다. 그런 부모가 되지 않으려고 조심하지만, 부모가 됐다고 갑자기 인격체 완벽해지는 건 아니어서 말이죠.”(269쪽)
“음료도 새로 갖다주고 청소도 해주고 “맛있게 드세요” 하고 웃으며 인사하는데 학생이 아무 대꾸도 하지 않는 게 에러였다. 커피를 쏟고 혼자 치우느라 당황해서 그랬을 것 같다. 그러나 “고맙습니다” “미안합니다” 하는 말이 습관이 되어 있으면 어떤 상황에서도 반사적으로 튀어나온다. 어릴 때부터 하지 못했으면 지금부터라도 “고맙습니다” “미안합니다” 말하는 습관을 들였으면 좋겠다. 짧은 한마디로 상대방도 기분 좋아지고 말하는 사람 인상도 좋아진다. 그래서 너는 인상이 좋으냐고 물으신다면, 엄청 좋을걸요?(먼 산)”(183쪽)
“엄마 손 잡고 온 아기·60대 등산객 언니들·취업 준비 중인 학생·
은퇴한 아버지들…”
그리고 혼자 있고는 싶은데 혼자이기는 싫은 이들을 위한 곳
작가는 책 속에서 보이는 ‘귀여운 오지라퍼’의 모습과는 달리, 사실은 50대가 될 때까지 카운터에서 물 한잔 달라고 말하기 어려웠던 내향인으로 살아왔다. 그런데 스타벅스라는 공간은 이상하게도 혼자 있고는 싶은데 혼자이기는 싫은 작가와 같은 극 내향인에게 편안함을 주는 곳이었다. 너무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이 적당하고 느슨한 사람들과의 연결, 서로를 존중하기 위해 암묵적으로 존재하는 룰(스터디 데스크에서는 지그재그로 앉아야 한다). 테이블마다 간격이 조밀한 곳도, 여유로운 곳도 있어 내가 선호하는 자리를 정할 수 있는 곳. 지루할 틈 없이 시즌마다 찾아오는 다채로운 계절 음료들. 내가 좋아하는 시즌 음료를 맛보기 위해 내년 이맘때를 또 기다리게 하는 설렘. 중·고등학생, 취업 준비생, 엄마와 아이, 점심시간의 회사원들, 군것질 주머니를 가지고 다니는 할머니, 등산객 손님들, 은퇴한 아버지들 등 다양한 연령대와 성별이 거리낌 없이 방문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 이 책을 통해 작가와 함께 텀블러 하나를 들고 스타벅스의 문을 여는 순간, 매일매일 똑같은 일상일 수 있는 날들을 특별하고 즐거운 시간으로 변화시키는 긍정 파워 ‘권남희 매직’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몸이 불편한 아이가 있으면 가정에 그늘이 있을 거라는 편견이 깨졌다. 엄마와 아빠가 아이를 사랑하는 모습만 보이고 아무런 그늘도 보이지 않았다. 장애가 있건 없건 내 아이는 사랑스럽기만 한데 남들이 편견을 갖는다. 그러고 보니 우리 강아지 나무의 두 눈이 새하얘져서 지나가는 사람마다 징그러워하거나 무서워할 때도 정하와 나는 “아유, 귀여워, 우리 나무 너무 귀여워” 하며 물고 빨았다. 가족의 마음은 그런 것이었다.”(170쪽)
“한참 일을 하다 화장실에 다녀오니 아이와 엄마는 집에 가려고 밖에 나와 있었다. 언젠가 또 동네에서 마주치길 기대하며 헤어졌다. 자리에 돌아와서 보니 노트북 위에 하트 모양의 스벅 마카롱이! 그러잖아도 정하가 일하며 먹으라고 사준 수제 쿠키가 있어서 아이에게 줘야겠다고 생각했는데. 이심전심. 얼른 뛰어나가서 모자를 쫓아가 쿠키를 선물했다. 일은 별로 못했지만, 왠지 자꾸 웃음이 쏟아지는 오늘의 스벅이었다.”(282~28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