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유이화

유이화

저자
조두진
출판사
예담
출판일
2012-04-27
등록일
2013-03-15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0
공급사
북큐브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3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사람 중심의 역사와 안타까운 가족애를 절절하게 그려낸 소설 『유이화』



국가 중심의 역사가 아니라 사람의 역사를 담아내고 싶어 하는 작가 조두진. 그가 신작 소설『유이화』에서 임진왜란 말기 전쟁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인들의 비참한 생활을 섬뜩할 정도로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나라를 지켜야 한다는 의무감과 당시의 봉건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한 조선 선비 안철영, 대의명분이나 의무감보다는 남편과 자식을 더 소중히 여기며 현재의 삶에 충실한 유이화, 하루하루 배곯지 않고 목숨을 부지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 평범한 백성들, 나라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내놓은 백성들의 삶은 안중에도 없는 임금과 대신들을 통해 당시 조선의 상황,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비참한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조선인의 모습을 냉철하게 그려냈다.





살아 있기에 서글픈, 긴 세월을 한숨과 눈물로 보낸 조선 사람들의 이야기



조선 역사에서 크나큰 아픔으로 기억되는 두 차례의 전쟁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은 근대 이후 끊임없이 문학작품과 역사 드라마의 소재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년 사이 이순신을 비롯해 임진왜란을 다룬 소설과 역사물이 대중에게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그 중심에는 늘 국가가 있고 임금이 있고 조선의 사대부들과 고위 장수들이 있을 뿐 백성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역사를 바라보는 시선은 찾아보기 힘들다. 조선이라는 나라와 조선의 사대부는 백성들에게 충성심을 무기와 방패 삼아 싸우도록 전장으로 내몰았고, 힘없는 백성들은 돌멩이와 곡괭이를 들고 총을 든 적군과 맞서 싸웠다. 그중에는 운 좋게 살아남아 가족과 함께 남은 생을 보낸 이들도 있지만 전장에서 허망하게 죽어간 이들이 수없이 많으며 일본으로 끌려가 끝내 고향땅을 밟지 못한 사람도 수만 명에 이른다. (임진왜란 당시 10만 명에 이르는 조선인이 일본에 포로로 끌려갔는데, 그중 조선으로 돌아온 사람은 8천여 명에 불과하다.)

소설 『유이화』는 이러한 역사의 단면을 날카로운 칼로 베어내듯 냉철하게 파고든 작품이다. 그 안에는 신하의 도리를 다하기 위해 아내와 아이를 두고 진주성으로 들어간 안철영이 있고, 아비에게 죽은 아들의 무덤자리라도 알려주기 위해 죽지 않는 몸뚱이를 원망하며 목숨을 이어가는 유이화가 있으며, 어떻게든 살아남아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끔찍한 수모를 견디며 짐승처럼 살아가는 조선인 포로들이 있다.

이처럼 이 책은 표면적으로는 나라를 위한 것이지만 결국은 임금과 사대부의 나라를 위한 것인 조선의 선비 사상 때문에 수많은 억압을 견디며 살아야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과연 국가만이 절대선인가’라는 화두를 던져준다. 더불어 임진왜란 말기 전쟁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인들의 서글픈 삶을 통해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낯선 땅으로 떠나야 했던 사람들, 돌아오고 싶었지만 돌아올 수 없었던 사람들, 여전히 타향을 떠도는 사람들을 돌아보게 해준다.





바람을 따라 흩어지는 배꽃처럼 살다간 사람들



임진왜란 당시 진주에 살던 안철영은 왜군이 진주성을 압박하자 조만간 벌어질 왜군과의 전투에 참전하기 위해 성으로 들어가려 한다. 그러나 열이 펄펄 끓는 네 살배기 아들 편윤이 때문에 시간을 지체하던 안철영은 의원을 찾아 나섰다가 왜군과 맞닥뜨리기 일보 직전에 진주성으로 향하는 일행에 끼어 성으로 들어간다.

한편 의원을 부르러 간 남편을 기다리던 유이화는 사흘 만에 아들을 저세상으로 떠나보내고,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다 이레 만에 아들을 장사지낸 후 언제든 남편이 살아서 돌아오기만 하면 찾을 수 있도록 아이의 무덤 앞에 커다란 돌을 놓는다.

그 무렵 조선은 2차 진주성 전투에서 일본에 패하고, 성에 있던 조선인은 일본군의 포로가 되어 끼니도 제대로 잇지 못한 채 하루 종일 부역에 시달리며 비참하게 살아간다. 안철영은 우연히 진주성 내 다른 군막에서 지내는 아내 유이화를 보게 되지만 이야기를 나누지는 못하고, 어느 날부터인가 아내를 보지 못하는데 그 무렵 조선 여성들이 기생이나 노비로 일본에 팔려 갔다는 소식을 듣는다.

얼마 후 안철영은 진주성에서 한시(漢詩)에 관심이 많은 왜장 아사노 유키나가의 눈에 들어 일본에 있는 그의 아들들에게 학문을 가르쳐달라는 제안을 받고, 일본으로 끌려갔을지도 모르는 아내를 찾을 생각으로 일본행 배에 오른다.

한편 일본 농가에 농노로 배정되어 고단한 삶을 살아가던 유이화는 자신을 겁탈하려는 주인을 피해 달아나던 중 일본으로 오는 배에서 자신을 돌봐준 일본 병사 히로시의 도움으로 위기를 넘기게 되는데…….





고향을 잊지 못하는 사람, 새로운 고향을 받아들이는 사람



일본으로 건너온 지 어느덧 6년이 흐르자 안철영은 누가 봐도 사무라이의 인상이 풍긴다. 그럼에도 그는 끝내 조선의 신하임을 포기하지 않은 채 임금의 제삿날이면 조선이 있는 북쪽을 향해 절하고, 조선 신하의 사모관대를 입은 쇄환사들을 보며 눈물을 철철 흘린다. 그러나 조선 사대부의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안철영과 달리 유이화는 일본인 남편 히로시가 지어준 ‘아시타(내일)’라는 이름을 받아들이고, 조선으로 돌아가자는 안철영에게 “나는 어느 나라 사람도 아닙니다. 이 아이들의 어미입니다”라고 말하며 ‘새 가족’을 선택한다.

안철영에게 아내 유이화는 조선으로 돌아가 벌과 나비가 노니는 수를 놓고, 아이가 읽는 『논어』와 『맹자』를 들으며 온화한 미소를 짓고, 희고 가느다란 손으로 들꽃을 꺾어 계절에 맞는 술을 담그고, 자신과 더불어 밤늦도록 고전을 읽어야 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유이화는 조선에서의 안락한 삶 대신 손에 굳은살이 박이도록 온종일 농사일과 집안일을 해야 하는 일본에서의 삶을 택한다. 그런 그녀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어린아이들이 오지 않을 어미를 기다리며 살도록 하지 않는 것이다.

결국 안철영은 “나는 임금의 나라가 위태로움을 생각했을 뿐, 내 아들의 목숨이 위태로움을 알지 못했다. 불타는 나라를 보며 눈물 흘리는 임금의 근심을 헤아렸을 뿐, 아픈 자식 앞에 쪼그리고 앉아 눈물 흘리던 내 아내의 슬픔을 몰랐다. 나는 임금과 나라를 아주 많이 생각했고, 처자를 조금 생각했다”라며 뒤늦은 후회를 하고, 죽은 아들을 가슴속에 묻은 유이화는 일본에서 낳은 두 아이와 떨어지느니 차라리 죽음을 택하겠다고 결연히 말한다. 소설『유이화』는 안철영과 유이화의 가족애가 역사라는 이름 앞에 힘없이 무너지는 안타까운 현실을 보여주지만, 한편 그 가족애야말로 이들의 신산한 삶을 지탱해주는 힘이었음을 느끼게 해준다.





일본 유학의 시조(始祖) 이진영



소설 속 안철영은 조선 선비 이진영(1571~1633년)이 모델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싸우다 일본군의 포로가 되어 오사카로 끌려간 이진영은 고금의 책을 폭넓게 읽어 학식이 풍부했다. 고된 농노생활을 하다 풀려나 글을 가르치며 생계를 이었는데, 새 통치자 요리노부에게 정중하게 번정 건의문을 올렸다가 존경받는 시강(侍講)이 된다. 끝내 고향땅을 다시 밟지 못하고 죽었지만 그의 책과 원고는 장남 이매계를 유신(儒臣)의 반열에 올려놓았고, 이매계는 일본인의 교육헌장이나 다름없는 ‘부모장’을 만들어 이름을 날렸다. 1998년 합천 이씨 종친회와 일본 와카야마 시가 공동으로 이진영·이매계 부자를 기리는 현창비를 오사카 공원에 세웠으며, 해선사(와카야마 소재) 입구에는 이진영 부자의 묘가 있다.

QUICKSERVICE

TOP